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북·대륙화물철도 연결…철도硏 ‘화물열차 가변연결기’ 개발
청주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한국-러시아 화차를 가변연결기로 연결해 주행시험을 실시하고 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한국 및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 국가 간 화물철도 운영을 위한 ‘동북아 공동화차 가변연결기’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철도연은 청주시에 있는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한-중, 한-러 간 화물철도를 연결, 가변연결기의 호환성 및 성능을 검증했다.

한국과 러시아 철도는 차량과 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 및 제동장치, 궤도의 간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동북아 화물철도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는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한국과 북한, 중국, 미국은 같은 형태의 AAR 연결기를 사용하고 러시아, 몽골과 옛 소련 국가연합체인 CIS국가는 CA-3 연결기를 사용하고 있다.

서유럽과 러시아는 상호호환이 가능한 연결기를 개발해 사용하고 있지만, 동북아 국가는 아직 화물철도 가변연결기가 적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북한-러시아, 중국-러시아, 중국-카자흐스탄 등 동북아 지역 국경에서는 환적이 불가피해 비용 및 시간이 크게 소요되고 있다.

철도연에서 개발한 가변연결기는 국제기준 및 러시아에서 요구하는 내한성 기준을 모두 충족했으며, 영하 50℃의 혹한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국내에서 운행 중인 25칸 화물열차 연결기의 강도를 크게 강화해 50칸을 연결하는 장대화물열차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설계됐다. 화물열차는 한국 25칸, 북한 35칸, 중국 50칸, 러시아 70~140칸 등 국가별 상황에 따라 운영 중이다.

철도연은 한·중·러 철도차량용품의 기술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몰리브덴과 바나듐, 니켈 등의 비율을 조정, 기계적·화학적 성질을 만족하는 공용재질을 개발해 가변연결기에 적용했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개발된 가변연결기는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현에 반드시 필요한 철도 상호운영성을 높이는 핵심기술”이라며 “향후 동북아 공동화차의 안정성과 완성도를 강화하고, 이러한 철도연의 연구성과가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및 신한반도체제에 기여하도록 기술개발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