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무협 “홍콩 시위 장기화…한국, 홍콩 통한 중국 재수출 타격 불가피”
-홍콩서 수입 제품 82.6% 中 재수출…반도체 비중 압도적
-韓, 상하이·선전등 대체 수출땐 규제·직간접 비용상승 우려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 홍콩의 시위가 장기화하면서 한국 수출이 악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홍콩을 거쳐 중국으로 가는 재수출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 수출 전선에 빨간불이 켜졌다.

2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홍콩 시위 장기화에 따른 우리 수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의 ‘범죄인 인도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12주째 이어지면서 한국 수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對)홍콩 수출액은 460억원(약 56조원)으로 중국, 미국, 베트남 다음으로 컸다. 업종별로 보면 한국의 대홍콩 수출 중 반도체가 73.0%로 압도적이었고, 이 중에서도 메모리반도체가 63.3%를 차지했다.

컴퓨터 3.4%, 화장품 2.9%, 석유제품 2.7%, 석유화학제품 2.4%가 뒤를 이었다.

홍콩으로의 수출 비중이 큰 것은 바로 홍콩이 대중국 수출의 우회지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홍콩에서 수입한 한국 제품 중 82.6%가 중국으로 재수출됐다.

금액 기준으로는 홍콩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약 355억달러 중 재수출한 금액이 334억원(94.0%)에 달했고, 재수출 금액 중 82.6%에 해당하는 293억달러가 중국으로 갔다.

무역협회는 “한국의 대홍콩 수출 중 상당수가 중국으로 재수출되고 있어서 홍콩과 본토 간 갈등이 격화하면 홍콩 경유 대중국 수출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특히 반도체 업종에서 더욱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홍콩에서 재수출한 상품 중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제품의 비중은 6.4%로 중국 본토(57.1%), 대만(9.7%) 제품 다음으로 컸다. 일본은 4.8%, 말레이시아는 3.3%, 미국은 3.1%, 인도와 태국은 각 1.8%였다.

한국은 홍콩을 경유한 재수출 비중이 높아서 홍콩 시위의 영향을 더욱 민감하게 받을 수 있다.

홍콩을 경유한 수출의 장점은 세계 3위 금융허브의 이점을 활용한 자금 조달, 무관세 혜택 및 낮은 법인세, 중국과의 직접거래에 따른 법적·제도적 위험 완화 등이다.

만약 홍콩 시위의 장기화로 홍콩을 통한 수출이 어려워진다면 상하이나 선전을 대체 무역허브로 활용하는 방안이 있긴 하지만, 중국과의 직접거래로 인한 법적·제도적 규제가 발생하고 관세를 내야 하는 등 여러 직·간접 비용 상승이 우려된다.

하지만 보고서에 따르면 당장 수출길 단절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는 중국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길 뿐만 아니라 해외 자본의 대규모 이탈을 야기하는 등 경제적인 부담도 있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다만 “홍콩 탄압에 대한 서구권의 반발이 미중 무역갈등과 연계될 경우 세계무역의 불확실성이 증폭될 수 있다”며 “이 경우 반도체 가격 급락, 미중 무역갈등과 이에 따른 중국 수요 부진, 일본 수출규제로 이미 어려움에 부닥친 한국 수출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atto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