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용범 기재차관 "시장 변동성 지속될 것…경기보강 추가 대응"
대내외 여건, 녹록지 않아…산업부 포함 회의 지속 가동
"동심동덕(同心同德) 자세로 긴밀한 협업 중요"

[헤럴드경제=정경수 기자] 정부는 26일 당분간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금융시장 안정, 경제활력 제고, 일본 수출규제 대응 등 3가지 방향에서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오전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일본 수출규제,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 대외여건을 점검, 이같이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박종석 한국은행 부총재보,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최재영 국제금융센터 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26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김 차관은 최근 국내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 "일본이 반도체 소재에 대한 수출 규제를 발표한 지난달 1일 이후 시장 변동성이 일부 확대되고 있다"며 "이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한 우려와 함께 글로벌 경기둔화,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 우려,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불확실성 등 대외 리스크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시장의 변동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단기간에 글로벌 악재가 중첩됨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전반에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확산됐다"며 "주요국 증시 동반하락, 국채금리 하락, 안전통화인 달러화와 엔화 강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현 상황을 차분하고 냉정하게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김 차관은 "외환보유액과 순대외채권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에도 국가신용등급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봤다. 아울러 우리 금융시장이 대외건전성을 바탕으로 외부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복원력과 정책여력을 갖고 있다고 당부했다.

향후 금융시장 안정, 경제활력 제고, 일본 수출규제 대응 등 3가지 방향에서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당분간 산업통상자원부까지 포함된 회의를 주 2회 가동하고,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면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선제적인 시장안정조치를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보강을 위한 추가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그는 "기금운용계획 변경으로 재정을 추가 투입하고, 공공‧민자‧기업투자도 계획 이상으로 집행될 수 있게 애로요인을 점검․해소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소비, 관광 등 내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발표하고, 올해보다 9% 이상 증가한 약 513조원대 내년도 예산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런 때일수록 각 경제주체가 서로를 믿고 한마음 한뜻으로 공동의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동심동덕(同心同德)'의 자세로 긴밀히 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외부의 어떤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는 경제'로 거듭나도록 비장한 각오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당부했다.

kwat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