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시아나도 10월부터 국내선 화물서비스 일부 중단
대한항공 이어 선제 비용절감
항공업계 수익성 악화 자구책

대한항공에 이어 아시아나항공도 10월부터 국내선 화물 운송 서비스 일부를 중단키로 했다.

보이콧 재팬 운동 확산과 중국의 신규 노선 신청 불허, 홍콩에서의 대규모 시위 등 잇단 악재에 선제적으로 비용절감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1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한항공은 화물 홈페이지를 통해 10월 1일부터 국내선 청주·대구·광주공항의 화물판매와 운송, 터미널 운영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아시아나항공도 10월 1일부터 대구·광주·청주공항 국내화물 운송을 중단한다는 안내문을 올렸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해당 공항의 화물사업 관련 다양한 수익 제고 노력을 기울였으나 지속된 누적 적자로 운영 중단이 불가피해졌다”고 설명했다.

아시아나 관계자는 “수익성 강화를 위한 화물사업 구조조정의 일환”이라며 “추후 국내선 화물은 김포∼제주 노선에서만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제 국내 공항 중 대구공항은 작년 국내선 화물처리량이 1만5889t으로 전년(1만7320t)보다 8.3% 감소했고 청주공항 역시 작년 국내선 화물처리량이 1만4446t으로 전년보다 13.6% 줄었다. 광주공항도 전체 화물처리량이 1만4478t으로 7.6% 감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2분기 모두 1000억원대의 영업손실을 냈다.

하반기 상황은 더 암울한 상태다.

일본 여행 거부 움직임이 확산하며 지난달 중순 이후 일본 여객이 급감하고 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국 노선 확충을 꾀했으나 중국이 자국 공항의 신규 취항을 막으면서 악재가 겹쳤다. 여기에 대규모 시위로 홍콩을 찾는 여객마저 주춤하는 분위기다. 국내 항공업계 전체가 3분기도 ‘실적 쇼크’가 우려돼 보다 강도높은 자구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정환 기자/atto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