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0~50대 男사망자 2.4배 증가…사망대비 보험 고민해봐야
40대 사망보험금 1~2억 필요
종신보험 상품 다양해지고 보험료 줄어

[헤럴드경제=한희라 기자] 100세시대가 도래했지만 40~50대 남성의 지난해 사망률이 전년 대비 2.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협회는 가계 지출이 가장 많은 4050 가장의 사망에 대비한 종신보험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통계청의 2018년 사망관련 통계에 따르면 80대(7.4%)와 90세이상(10.4%) 연령의 사망자 수가 타 연령대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수명이 길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남성의 경우 40대(8700명)에서 50대(20만5000명)의 사망자수가 전년대비 약 2.4배로 대폭 증가했다. 이 연령대의 남성 사망률은 여성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이 연령대는 교육비 등 소비지출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아지는 시기다. 가계 주소득 배우자 사망시 가계 경제에 치명적 위기를 가져올 수 밖에 없다.

통계청의 지난해 가계동향조사 데이터를 보면 40대(40세 기준) 가구의 향후 평균 10년간 자녀교육비는 4796만원, 20년간 생활비는 7억3114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최근 삼성생명 발표자료에 의하면 국내 1인당 평균 사망보험금은 2995만원으로 국내 전체가구의 1년 소비지출액 3045만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미국의 16만3000달러(약 1억 9000만원), 일본의 2255만엔(약 2억4000만원)과 비교해서도 상당히 부족한 수준이다.

생보협회는 40대 남성의 경우 남겨진 배우자가 새로운 소득을 찾고 안정된 생활을 회복할 수 있을 때까지 최소 3년간의 생활비 약 1억원, 조금 더 여유가 있다면 5년간의 생활비 약 2억원 수준의 사망보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를 보장하기 위한 보험으로는 종신보험을 추천했다.

생보협회 관계자는 “종신보험은 사망보험금 규모가 크고 사망보험금이 확실히 지급되기 때문에 다른 보험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험료가 높다. 하지만 최근 보험사들이 종신보험을 무해지환급설계, 보험금 체감 방식 적용 등으로 소비자의 보험료 부담을 크게 줄었다”며 “자녀의 안정된 교육과 남겨진 가족의 최소한의 생활유지를 위해서라도 죽음 이후 상황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종신보험을 통한 경제적 실천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