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부터 실무진까지 ‘위기극복’
내년 투자계획도 신중하게
전문가들 “경쟁력 저하 우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오른쪽)이 지난 6일 충남 온양과 천안 사업장을 잇따라 방문해 사업현황을 점검하고 일본의 경제보복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삼성전자 제공] |
본격적인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공격적인 투자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가던 국내 주요 기업들이 일제히 ‘수세경영’ 태세에 돌입했다. 미중 무역분쟁이 본격화하고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한 생산 타격이 예상되는 등 국내외 경영 환경이 전례없는 위기에 빠진 탓이다.
불확실성이 극대화된 경영 환경 속에서 ‘안전 제일주의’를 선택, 당장의 생존이 중요한 만큼 기존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며 사활을 걸겠다는 전략으로 보여진다.
주요 그룹들이 일제히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는 등 이같은 분위기는 점차 확산되고 있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기업들이 최근까지 4차 산업혁명 등 미래 먹거리 발굴에 매진해왔지만 미중·한일 무역분쟁 등 현안이 엄중해지면서 당장의 위기극복에 역량을 집중하는 상황”이라며 “한정된 경영자원에서 공격경영은 당분간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돼 시장 수요가 낮아지면 투자를 지연시키게 되고, 수익도 줄어들어 투자여력도 떨어지게 된다”며 성장동력 저하를 우려했다.
삼성은 연일 비상경영을 가동 중이다. 올 상반기까지만 해도 ‘반도체 2030 비전(메모리·비메모리 2030년 세계 1위 달성)’을 발표하고 4차 산업혁명 주도권을 쥐기 위한 글로벌 인공지능(AI)센터 구축 및 인재영입 등 미래 대비를 활발히 진행해왔지만 지난달 일본의 수출규제가 본격화하면서부터는 총수부터 실무진까지 위기 대응에 매진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6일 충남 아산과 천안 사업장을 시작으로 전국 현장경영에 돌입했다. 이 부회장이 첫 행선지로 택한 아산과 천안 사업장은 반도체 제조공정 중 끝단인 후(後)공정 라인이 있는 곳이다. 반도체 제조공정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 과정을 직접 세심하게 챙겨보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내년도 투자계획에도 신중해진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내년도 투자계획은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며 “대외 불확실성과 시장 변동성이 커 투자 검토 빈도를 기존보다 증가시키면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역시 일본의 경제보복과 관련해 일본과 국내 협력사에 안전 재고 확보를 요청하는 등 피해 최소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최태원 SK회장이 지난 6월 경기도 이천시 SKMS연구소에서 열린 2019확대경영회의에서 발표 내용을 듣고 있다. [SK그룹 제공] |
SK그룹도 지난 5일 최태원 회장이 주재하는 비상경영회의를 실시하는 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최 회장은 일본 수출규제 조치에 따른 예상 시나리오를 점검하고 대응책과 준비 상황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일본 수출규제 장기화에 대비해 사태수습 및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운영 중이다. SK이노베이션은 미중 무역전쟁 심화로 화학사업 시황에 실질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어 관련 경영전략을 재정비 중이다.
GS와 한화그룹 등도 화학 또는 금융 사업 등에서 미중 분쟁과 환율 변동성 확대가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국면에서 기업의 경쟁력 저하를 우려하고 있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국제통상)는 “4차 산업혁명은 승자독식 구조로, 경쟁이 치열해 한일 난타전으로 시간을 허비할 여유가 없다”면서 “기업 입장에서는 이미 타격을 받은 후 보상·보전책은 ‘사후약방문’에 불과해 정부가 냉정한 판단으로 진정 국면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호 한국경제연구원 산업혁신팀장은 “주식과 금융시장 등 경제 전방위적인 타격으로 번질 수 있어 크게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기업들은 단기적으로 생산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품 소재 조달에 힘써야 하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철저한 시장 모니터링을 통해 위기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천예선·이세진 기자/jin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