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총기테러’-시진핑 ‘홍콩’…‘내치 폭탄’ 안고 싸우는 美中
美, 中 환율조작국 지정…‘통화 전쟁’ 전선 열어
전문가들, 미중 양국에 심각한 경제적 타격·성장 둔화 우려
[로이터]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위기에 처했다. 미·중 무역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총기난사 테러, 시 주석은 홍콩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라는 또 다른 난국을 만났다. 자국 내에서 곤란한 입장에 놓인 양국 정상이 해외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더욱 강경하게 대치하며 무역전쟁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5일(현지시간) 중국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는 ‘포치(破七)’를 기록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6월 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두 정상이 합의한 휴전이 불과 한달여 만에 깨진 형국이다.

중국 측은 지난주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데 맞서 ‘환율 카드’롤 꺼내든 것으로 풀이된다.

워싱턴포스트(WP)는 “미국과 중국이 광범위한 경제 대결 가운데 ‘통화 전쟁’이라는 폭발적인 새 전선을 열었다”면서 “이는 미중 무역전쟁의 중대한 확대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추가 관세 부과를 언급한 이후 새롭게 촉발된 미중 무역 갈등을 더 격화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문제는 통화 전쟁이 미중 모두에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히고, 글로벌 경제도 뒤흔들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추가적인 무역 제재가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에즈워 프라사드 코넬대 무역정책 교수는 “미중 무역 갈등이 통화 전쟁으로 변모하면 매우 심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면서 “미국이 근본적으로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문을 닫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WP에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무역전쟁을 지속하면서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 인하로 경기 둔화를 막아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는 이날 트위터에서 중국의 환율 조작을 공격하는 한편 “연준도 듣고 있냐”고 압박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에 대응해 재무부의 직접적인 외환시장 개입을 지시하기보다는 연준이 통화정책을 완화하도록 계속 괴롭히겠다는 것을 시사했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을 상쇄할 수 없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