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클라우드도 맞춤형…KT, 금융 전용 클라우드 선보여
- 목동 IDC2센터에 ‘퍼블릭 금융 클라우드’ 구축

- 정보보호조치 완비…통합보안관제 인프라 갖춰

- KEB하나은행 GLN, 제로페이 포인트 플랫폼 등 수용
KT 모델이 서울 양천구 목동IDC2센터에서 금융회사를 위한 ‘퍼블릭 금융 클라우드’ 구축을 알리고 있다. [KT 제공]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KT가 금융사에 특화된 전용 클라우드존을 통해 금융 클라우드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KT는 6일 서울 양천구에 위치한 ‘목동 IDC2센터’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금융회사를 위한 ‘퍼블릭 금융 클라우드’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곳에서는 국내 첫 민간 금융 클라우드인 KEB하나은행의 ‘GLN플랫폼’, ‘제로페이 포인트 플랫폼’ 등 다양한 금융 관련 서비스를 수용한다.

KT는 이번에 선보인 금융 전용 클라우드가 금융감독원의 보안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면서 동시에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금융사의 중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금융보안원이 안정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합보안관제 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갖췄다. 이를 통해 신규 금융서비스 수용 적합성 심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KT는 금융권 전반에 걸쳐 클라우드 도입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전문 컨설팅과 규제기관 수검 지원 등 관련 서비스를 계속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금융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ICT 기술을 금융에 도입하는 것이다. 기존 국내 금융권에서는 클라우드를 인사시스템이나 홈페이지 등 중요 정보를 다루지 않는 업무에 한정해 이용했으며, 개인신용정보 등 중요 정보는 이용을 제한했다. 중요 정보에 클라우드를 활용하려면 금융사는 전용 데이터 센터와 네트워크 등 구축형(프라이빗) 환경을 마련해야 했다.

그러나 올해 1월 전자금융감독규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개인신용정보와 고유식별정보도 클라우드 활용이 가능해졌다.

단, 금융보안원이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로 제시하는 기본보호조치와 추가보호조치 총 141개 항목을 준수해야 한다. 또,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서는 금융보안원의 안정성 평가를 받고 현장실사를 통한 적합 판정을 받아야 한다.

KT는 금융감독규정개정안 시행 전부터 프라이빗 환경 기반 보안이 강화된 ‘VPC(Virtual Private Cloud)’와 ‘금융전용 클라우드 보안데이터센터(FSDC)’를 운영해 왔다. 전자금융 솔루션 업체 ‘웹케시’와 ‘제노솔루션’과도 협업해 전자금융업 등록 등 행정절차 전문 컨설팅도 지원했다.

금융 전용 클라우드 출시에 따라 금융사를 위한 KT의 클라우드 상품 라인업은 ▷기업전용 클라우드(프라이빗) ▷독립형 클라우드(VPC, FSDC/프라이빗) ▷금융 전용 공용 클라우드(퍼블릭)로 확대됐다.

김주성 KT 클라우드 사업담당 상무는 “금융규제 환경을 완벽히 준수한 KT 금융 전용 클라우드를 선보인 것을 시작으로, 앞으로 국내 금융 클라우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