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목동 참사' 탈출구 왜 폐쇄했나…"계단서 물살 피했을 줄"
탈출구 폐쇄한 작업자들, “사망자들 다른 수직구 쪽에 대피했을 것으로 짐작”
1일 오전 서울 양천구 목동 빗물 배수시설 공사 현장 수몰지에서 배수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이날 배수 작업으로 사고 현장 수위가 낮아지며 소방당국과 양천구청은 이날 오전 5시 42분과 47분에 배수시설에서 시신 2구를 발견했다. 이들은 실종됐던 시공사 직원 안모씨와 미얀마 국적 협력업체 직원으로 확인됐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서울 목동 빗물 배수시설 공사현장 사망사고 현장에서 피해자들의 사실상 유일한 탈출구가 막혀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탈출구를 막은 작업자들은 터널 내부의 피해자들이 다른 곳에서 물살을 피하고 있을 것으로 짐작했다고 진술했다.

이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 양천경찰서 전담수사팀은 "방수문을 닫은 작업자들은 피해자들이 '유출수직구'의 계단에 올라 물살을 피했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진술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사고 현장 주변에서 지상과 연결되는 수직구는 '유지관리 수직구'와 '유출 수직구' 등 2개다.

사고 피해자들은 유지관리 수직구 지하에 있는 방수문을 통해 터널로 진입했다. 그런데 폭우로 물이 불어나자 외부에 있던 작업자들이 이 방수문을 닫아버린 것으로 드러났다.

폐쇄된 방수문은 터널 내부에서는 열 방법이 없다. 근처에 있는 유출 수직구에 바닥부터 이동식 비상계단이 있었지만 지상까지 연결돼 있지는 않았다. 지상으로 연결된 탈출구는 방수문이 유일했다.

경찰 조사에서 현장 작업자들은 피해자들이 비상계단에서 물살을 피했을 것으로 짐작하고 설비 보호와 감전사고 등을 위해 방수문을 폐쇄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당시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주말에도 현장 관계자들을 참고인으로 부르는 등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 방수문 폐쇄가 사고의 결정적 원인을 제공했는지 등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범죄 혐의점이 발견되면 업무상과실치사 혐의 등으로 현장 관계자 등을 입건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경찰은 당시 현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과학수사대, 소방당국 등과 함께 현장 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진행할 예정이던 합동 현장감식은 애초 다음주 초로 예정됐으나 태풍 북상으로 현장의 안전 우려가 제기돼 잠정 연기됐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