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콩 주둔 中 군사령관 ‘홍콩 시위’ 향해 경고… “폭력적 충돌 용납 못해”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 사령원 건군 92주년 행사서 홍콩 시위 첫 언급
中 ‘반송환법 시위’에 군사 동원 우려 고조
반송환법 시위 과정에서 폭동 혐의로 기소된 44명의 시위 참가자들을 지지하기 위해 31일(현지시간) 홍콩 동부법원 앞에 모인 사람들이 폭풍에 몸을 피하고 있다. [EPA]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중국이 홍콩의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에 대한 군사적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거듭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 사령관이 “홍콩 내 폭력적 충돌은 용납할 수 없다”며 중국 주권 보호를 위해 군이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1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천다오샹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 사령원이 지난달 31일 건군 92주년 행사에 참석해 이 처럼 말했다고 보도했다. 홍콩 주둔 군간부가 홍콩 시위대에 대한 언급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천 사령원은 이날 홍콩 주둔군 막사에서 진행된 리셉션에서 “최근 홍콩에서 잇따르고 있는 폭력사태는 도시의 번영과 안정을 파괴하고, 법과 사회질서에 도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시위는 홍콩 시민들의 삶과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고, ‘한나라 두체제’의 핵심을 침범하고 있다”면서 “이는 용인되어서는 안되며, 강력히 규탄한다”고 경고했다.

천 사령원의 ‘경고’로 중국군이 홍콩의 ‘반송환법’ 시위에 개입할 것이란 우려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중국은 홍콩 시위가 장기화되고, 일부는 경찰과 시위대 간의 폭력적인 충돌로 이어지자 인민해방군을 투입할 수 있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다.

지난달 24일 우첸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2019년 국방백서 발표 기자회견에서 “홍콩 정부가 요청한다면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군을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29일에는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의 전임자인 런춘잉 중국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이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문을 통해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은 그저 상징적인 존재가 아니다”며 경고하기도 했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