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태평양공군사령관 "2025년 인태지역 F-35 220여대..동맹과 상호작전 중요"
-인도태평양 지역안보 관련 강연회 참석
-"한국, 일본, 호주에 F-35 총 38대 배치"
-"앞으로 인태지역 F-35 75% 동맹이 운용"
-"미국과 동맹국 F-35 상호 운용능력 중요"
지난 3월 한국에 인도된 F-35 1호기가 시험비행을 위해 이륙하고 있다.[사진=방위사업청]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찰스 브라운 미국 태평양공군사령관은 오는 2025년까지 인도태평양 지역의 미군과 동맹국 군 등에 스텔스 전투기 F-35 220여대가 배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3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브라운 사령관은 지난 30일(현지시간) 미국 미첼항공우주연구소가 버지니아주 소재 미 공군협회에서 개최한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 관련 강연회에서 현재 동북아 지역에 주둔한 미국 해병과 한국, 일본, 호주에 총 38대의 F-35 전투기가 배치돼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브라운 사령관은 앞으로 인도태평양지역에 배치되는 F-35 전투기의 75%는 미국이 아닌 파트너 국가들이 보유하게 될 것이라며, 이 때문에 미국과 파트너 국가 간의 상호 운영능력(interoperability)이 중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지난 3월 미국으로부터 F-35A 2대를 도입했고 2021년까지 총 40대를 전력화할 계획이며, 일본은 2023년까지 F-35A(공군용)와 F-35B(해병대용) 전투기를 총 105대 도입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브라운 사령관은 또 북한의 지난 25일 단거리 미사일 발사가 8월 한미연합훈련 실시 등을 추진 중인 한국 군부에 대한 경고라는 북측 메시지에 대해 새로울 게 없다며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입장을 바꿀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브라운 사령관은 대규모 한미연합 공군훈련인 ‘비질런트 에이스’(Vigilant Ace)가 지난해 유예됐지만, 한미 양국 공군의 군사대비태세에는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