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역세권청년주택, 하반기에 2316실 첫 입주자 모집
구의동, 충정로3가, 서교동, 용답동, 숭인등 등 5곳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말 많던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이 다음달부터 입주자 모집에 나선다. 박원순 시장 역점사업인 역세권 청년주택 호가 2016년 출항 이래 3년만에 처음으로 닻을 내리는 것이다.

서울시는 다음달 구의동 84실을 비롯해 모두 2136실에 대해 역세권 청년주택 모집공고를 낸다고 31일 밝혔다.

하반기 모집공고 대상은 ▷구의동 84실(공공 18, 민간 66) ▷충정로3가 523실(공공 49실, 민간 474실) ▷서교동 1121실(공공 199실, 민간 922실) ▷용답동 170실(공공 22실, 민간 148실) ▷숭인동 238실(공공 31실, 민간 207실) 등 모두 5곳이다. 전체 2136실 가운데 공공임대는 319실, 민간 임대는 1817실이다.

모집 공고는 각각 8~10월에 걸쳐 서울주택도시공사가 대행해서 한다. 공사 고객센터(1600-3456)에 문자 알림 서비스를 신청해 두면 입주자 모집공고 시 문자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모집공고는 신청자에 대한 소득기준 등 입주요건 심사를 거쳐 대상자를 확정하는 만큼 준공 6개월전에 이뤄진다.

이번에 모집하는 곳은 구의동이 오는 12월에 첫 입주를 시작으로 내년 3월까지 입주에 나선다. 내년에는 상반기에 6곳, 하반기에 7곳 등 13곳이 입주자를 모집하는 등 입주가 본격화한다.

서울시 청사 전경.

서울시에 따르면 역세권 청년주택은 사업계획을 최초 승인한 2017년 2월 이후 올 상반기까지 사업시행인가가 완료된 곳은 약 1만4000가구(37곳)에 이른다. 이 기간 공급 목표(3만5000가구) 대비 46% 수준이다. 구청 협의 등 현재 사업시행인가를 위한 행정 절차 단계인 곳도 6800가구다. 이 밖에 시가 사업 가능성을 검토·안내한 곳이 7200가구, 건물주 등 민간이 추진의사를 타진한 곳은 8300가구다.

사업 시행 인가가 완료된 1만4000가구 중 7800가구가 실제 착공에 들어가 공사를 진행 중이다. 나머지 6200가구는 굴토심의, 건축물 구조심의, 시공사 선정 등의 절차를 밟고 있다.

이처럼 사업시행 인가부터 실제 입주까지는 3년 가량이 소요된다. 서울시 측은 “내년부터 본격적인 입주가 이뤄지면 ‘청년 주거 불안 해소’라는 현장의 효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는 또한 그간 사업을 진행하면서 제기된 시행자, 청년, 전문가 의견을 종합 검토해 인허가 절차 시간 단축을 위한 행정 지원을 강화하고, 임대료 적정선 도출 등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시가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절차 간소화, 건설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면 민간사업자가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주거면적 100%를 공공·민간 임대주택으로 지어 청년층에 우선 공급하는 사업이다. 정책 발표 당시 민간사업자에 대한 과도한 특혜 시비와 비싼 임대료란 비판이 일기도 했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기획관은 “현재 청년 1인 가구의 37%가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을 일컫는 ‘지옥고’에 산다. 윗세대를 지탱하고 미래세대를 연결하는 청년 세대가 주거 빈곤층으로 전락해 사랑할 수 없고, 결혼할 수 없고,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사회가 되는 것은 청년 세대를 넘어 사회 전체의 문제이자 큰 손실”이라며 “역세권 청년주택은 공급이 가시화하기까지 몇 년이 걸리는 만큼 더디게 느껴질 수 있지만, 확고한 정책 의지와 동력으로 차질없이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