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전자 2분기 영업이익 6523억원…전년동기比 15.4%↓
매출 15조6292억원…역대 2분기 중 최대
‘원톱’ 생활가전 분기 매출 첫 6조원 돌파
新가전·에어컨 성수기 판매호조 견인차
스마트폰은 17분기 연속 적자

[헤럴드경제=천예선 기자] LG전자 신(新)가전 판매호조에 힘입어 2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생활가전 사업은 분기 매출 첫 6조원을 돌파하며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했다. 반면 스마트폰 사업은 17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LG전자는 30일 2분기 확정실적 공시를 통해 매출 15조6292억원, 영업이익 652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5.4% 감소했다. 매출액은 2분기와 상반기 기준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 상반기 매출액은 30조5443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부문별로는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 매출이 분기 매출 첫 6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H&A사업본부의 매출은 6조1028억 원, 영업이익 7175억원을 달성했다.

국내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북미, 유럽, 중동아프리카 등 해외 전 지역의 판매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16.1% 늘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영업이익은 해외 전 지역에서 골고루 매출이 늘어난 가운데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무선청소기 등 신가전의 판매 확대, 에어컨의 성수기 진입, 원가구조 개선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4%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11.8%)은 2분기 기준 가장 높다.

TV를 맡고 있는 HE사업본부는 매출액 3조 6,712억 원, 영업이익 2,056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유럽, 중남미 등에서 수요가 줄며 대형 스포츠 이벤트의 효과를 누렸던 전년 대비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수요 감소로 인한 경쟁 심화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와 환율 약세로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

휴대전화를 담당하는 MC사업본부는 17분기 연속 적자를 면치 못했다. 매출은 1조6133억원, 영업손실 313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5G 스마트폰 ‘LG V50 ThinQ’의 판매 호조로 전 분기 대비 증가했다. 다만 4G 및 보급형 스마트폰의 수요 정체로 인한 경쟁 심화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전략 스마트폰 ‘LG G8 ThinQ’와 ‘LG V50 ThinQ’의 출시로 마케팅 비용이 늘었고 평택 스마트폰 생산라인의 재배치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발생해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전장사업을 맡고 있는 VS사업본부 역시 영업손실 558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1조 4231억원으로 집계됐다.

BS(비즈니스솔루션) 사업본부는 매출 6755억 원, 영업이익 581억 원을 기록했다.

태양광 모듈은 유럽과 북미에서 각각 고출력 제품, 가정용 제품 확대 등이 주효했고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은 프리미엄 중심으로 판매가 늘며 BS본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8% 늘었다.

3분기 전망은 밝지 않다.

LG전자 측은 “3분기는 소비 및 투자 심리가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 일본의 수출규제, 영국의 브렉시트 등 불확실성도 커질 전망”이라며 “주요 제품이 비수기에 진입하고 수요가 정체됨에 따라 경쟁의 강도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에 LG전자는 이익이 전제된 성장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프리미엄 제품과 B2B의 사업성과에 대한 기여도는 점차 높아질 전망이다.

생활가전 사업은 에어컨 판매가 계절적 비수기에 진입하지만 프리미엄 및 신성장 제품의 매출 확대에 집중할 예정이다.

글로벌 TV시장은 수요 정체가 예상되나 올레드 TV, 슈퍼울트라HD TV, 초대형 TV 등 프리미엄 TV는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는 이에 맞춰 프리미엄 TV 판매를 확대하는 한편 마케팅 비용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원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MC사업본부는 5G 스마트폰과 경쟁력 있는 보급형 신모델을 앞세워 매출을 늘릴 계획이다. LG전자 관계자는 “듀얼 스크린은 시장과 고객으로부터 사용성과 편의성을 인정받은 만큼 LG만의 차별화된 강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플랫폼화 및 모듈화 전략에 기반한 원가 효율화를 통해 사업구조 개선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che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