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전자산업 ‘세계 3위’로…日 제쳤지만 반도체 편식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이 중국과 미국에 이어 전 세계 3위 생산국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 최근 5년간 주요국 가운데 3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 대한 지나친 ‘편중’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지적됐다.

30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회장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가 발간한 ‘세계 전자산업 주요국 생산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은 1711억100만달러(약 202조7000억원)로 집계됐다.

한국이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로, 중국(7172억6600달러·37.2%)과 미국(2454만2200만달러·12.6%)에 이어 3번째였다. 이는 5년 전인 2013년(1111억7900만달러)과 비교할 때 53.3%나 늘어난 수치다. 순위 또한 일본을 제치고 한 계단 올라섰다.

특히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9.0%에 달하면서 상위 20개국 가운데 베트남(11.7%)과 인도(10.9%)에 이어 세번째로 높았다. 중국과 미국은 각각 2.9%와 1.0%였다. 일본은 -2.3%를 기록하며 ‘역성장’ 했다.

그러나 한국은 지난해 전체 전자산업 생산에서 차지한 전자부품 비중이 77.3%에 달해 5년 전보다 18.8%포인트나 높아졌다.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가 각각 10.0%와 7.8%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2017년과 지난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 덕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리면서 전자부품 비중이 큰 폭으로 확대된 데 따른 결과다.

중국의 경우 가장 비중이 큰 컴퓨터 분야가 전체의 34.2%를 차지했고, 미국도 무선통신기기 분야의 비중이 최대였으나 32.3%에 그치며 분야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일본은 전자부품 분야 비중이 56.6%였다.

전자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전자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과 설비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한국이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입지를 넓혔으나 반도체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쉽게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순식 기자/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