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 규제 풀기’ 의원단 미국으로
정세균 단장 등 7명으로 구성
한미일 의원단 26일 대토론회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방미단이 24일 출국했다. 규모는 7명 가량으로 일본 측 인원과 비슷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문희상 국회의장의 친서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차원의 결의안 등을 통해 일본 무역보복의 부당성을 알리는데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공식 일정 시작 전 비공개로 미국 측 인사와 만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측 참석인원은 정 전 의장을 중심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수혁·박경미, 자유한국당 김세연·최교일, 바른미래당 유의동·이상돈 의원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로 김현아 한국당 의원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급박하게 명단이 변경되는 과정에서 참석하지 못하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당초 4명 의원이 확정된 것에서 3명을 더 늘린 것이다. 일본이 알려온 참석 인원과 비슷한 수준으로 방미단을 맞춘 셈이다.

일본 측은 전날까지 한국 측에 인원 변동을 알리지 않았다. 앞서 전한 문서에 따르면 일본 측은 나카가와 마사하루 무소속 중의원과 이노구치 쿠니코 자민당 참의원을 공동단장으로 세웠다. 야마모토 고조 자민당 중의원, 타케모토 나오카즈 자민당 중의원, 타지마 카나메 민주당 중의원, 마키야마 히로에 입헌민주당 참의원, 스에마츠 요시노리 민주당 중의원, 토야마 기요히코 공명당 중의원 등도 함께한다. 미국 측은 마크 타카노 연방 하원의원, 댄 마페이 전 하원의원, 데니스 헤르텔 전 하원의원 등이 참석한다.

방미단은 이날 오전 한국을 출발해 현지시간으로 24일 점심께 도착할 예정이다. 그러나 회동 계획상 이들의 공식적인 행사는 25일 만찬회동부터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방미단은 그 사이 시간에 미국 측 인사와 접촉할 계획을 타진하고 있는 중이다. 미국 측의 중재자 역할을 호소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일본 무역보복 관련해 문희상 국회의장의 친서 원본과 외통위 결의안도 직접 전달한다.

만찬회동에서 상견례를 시작하는 한미일 의원단은 그 다음날인 26일 하루를 토론으로 꼬박 채운다. 주제는 3개 세션으로 나뉜다. ▷국내정세 ▷3국의 경제 및 무역이슈 ▷안보이슈 등으로 구성됐다. 참석자들은 별다른 배석자없이 ‘프리토킹’으로 토론을 이어갈 예정이다. 때문에 참석 의원들도 모두 영어에 능통한 인물들로 채워졌다.

정 전 의장은 앞서 이와 관련해 “안보 문제에 있어서 한미일이 꼭 협력해야 하지 않느냐. 만일 한일 간에 협력 관계가 무너지면 한미일 안보 공조가 깨질 수도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미국도 당연히 이 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환기하고 미국이 할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전방위적으로 한일의원연맹 등을 비롯한 의원외교로 입법부도 나서야 한다”며 “행정부, 입법부, 민간이 모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했다.

방미단 중 한명인 유 의원은 이날 “치열한 외교전쟁 속에서 조속히 풀어야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며 “이 시기에 방미 길에 오르게 되어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이어 “미일 의원들과의 면담을 통해 꼬여있는 외교현안을 갈등이 아닌 해결에 방점을 두고 접근하자고 제안할 것”이라며 “일본의 수출규제, 북핵위협 등 한미일 삼국 간의 입장을 교환하고 합리적인 외교해법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홍태화 기자/th5@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