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 소재 수출 규제에 글로벌 IT업계 '패닉'

[헤럴드경제] 일본의 대(對)한국 소재 수출 규제로 인한 파장이 전세계 IT 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일본이 한국을 수출심사 우대 대상인 '화이트(백색) 국가' 리스트에서 제외할 경우 다른 업계도 영향권에 들면서 '도미노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21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일본의 수출 규제가 3주째로 접어들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글로벌 고객사와 협력사는 물론 경쟁사들까지 잇따라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19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연구원들이 차세대 반도체 연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에서 유일하게 삼성전자에 앞서 있는 대만 TSMC는 18일 올 하반기 실적 전망을 밝히면서 최근 일본의 소재 수출 사태를 '최대 불확실성'으로 꼽았다.

마크 류(劉德音) TSMC 회장은 "한일 갈등으로 인해 올 4분기 전망을 정확하게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지정학적 요인과 통상 관련 불확실성이 간단히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애플과 아마존 등 미국 IT업체들도 삼성전자 측에 이번 사태로 인해 모바일용, 서버용 메모리 반도체 등의 공급이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는지를 거듭 문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이달 초 고객업체들에 '생산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안내했지만 불안감은 점점 커지고 있다"며 "올 하반기 업황 회복을 기대하는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도 중국 화웨이 사태에 이은 또다른 불확실성을 호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모리 반도체 공급 차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이미 현물시장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디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램 현물 거래가는 일본의 수출 규제가 발동된 이후 품목에 따라 최고 25% 급등했고, 낸드플래시도 6%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UBS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올 3분기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률 전망치를 당초 10%에서 5%로 조정했다면서 그 이유로 일본 도시바(東芝) 공장의 정전 사태와 함께 일분 소재 수출 규제를 꼽았다.

자산운용사인 번스타인의 마크 뉴먼 애널리스트는 "수출 규제가 계속된다면 메모리 가격은 전례 없는 폭등세(skyrocket)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