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본 수출규제 단행후 첫 실무회의 …창고같은 회의실에 인사도 안해 ‘의도적 홀대’
창고인듯 의자 쌓여있는 회의실엔 정리안된 전선에 기자재 파편
일본 정부의 한국 수출 규제 강화 조치와 관련한 양국 과장급 첫 실무회의에 참석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전찬수 무역안보과장(오른쪽부터)·한철희 동북아 통상과장이 12일 도쿄 지요다구 경제산업성 별관 1031호실에서 일본 측 대표인 이와마쓰 준(岩松潤) 무역관리과장·이가리 가쓰로(猪狩克郞) 안전보장무역관리과장과 마주 앉은 채 얼굴을 쳐다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일본 정부가 지난 4일 고순도불화수소(에칭가스)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3대 핵심소재 품목에 대한 우리나라 수출 규제를 단행한 이후, 처음으로 양국 실무자들이 만났다.

그러나 첫 실무회의를 연 공간은 화이트 보드 1개를 배경으로 테이블 2개와 의자가 덩그렇게 놓여 있어 ‘회의실’이라기 보다는 차라리 ‘창고’에 가까운 공간으로 일본 정부의 의도적인 ‘홀대’가 곳곳에서 감지됐다는 지적이다.

우리 산업통상자원부과 일본 경제산업성 관계자들은 12일 도쿄(東京) 경제산업성 청사 별관 1031호에서 일본 정부의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강화 조치를 둘러싼 회의를 가졌다.

회의에는 우리 측에선 산업통상자원부의 전찬수 무역안보과장과 한철희 동북아 통상과장이, 일본 측에선 경제산업성의 이와마쓰 준(岩松潤) 무역관리과장과 이가리 가쓰로(猪狩克郞) 안전보장무역관리과장 등 양측 각각 2명씩이 각각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회의 참석자들이 발언하기 전 자리에 앉아 있는 모습 1분만 취재진에 공개됐다. 이날 일본측은 장소 선정에서부터 한국측 참가자들에 대한 응대까지 한국을 홀대하려는 의도를 강하게 드러냈다.

회의실 내부 귀퉁이에는 간이 의자가 쌓여있었고, 이동형 테이블은 포개져 한쪽켠에 놓여져 있었다. 바닥에는 정리되지 않은 전선이 삐쭉 튀어나와 있었으며 곳곳에서는 파손된 의자나 책상 등 기자재의 조각들이 흩어져 있었다.

경제산업성 10층에 위치한 회의 장소의 뒷면에는 '수출관리에 관한 사무적 설명회'라는 글을 프린트한 A4 용지 2장 크기의 종이만 달랑 붙어 있었고 참가자들이 앉은 테이블에는 회의 참가자들의 이름표조차 없었다.

이날 회의가 일본 정부가 지난 4일 고순도불화수소(에칭가스)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3대 핵심소재 품목에 대한 한국 수출 규제를 단행한 이후 처음 열리는 자리인 까닭에 양국의 국민적 관심이 쏠린 자리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무리 너그러운 마음으로 봐도 회의 장소로는 적절치 않아 보였다.

일본 정부는 참가자들의 뒷면에 있는 화이트 보드에 ‘수출관리에 관한 사무적 설명회’라는 일본어를 프린트한 A4용지 2장을 이어 붙여놨다. 한국이 주장한 ‘협의’의 자리가 아니라 단지 자신들의 보복 조치를 한국에 설명하는 자리일 뿐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양측 참가자들이 앉는 테이블에는 참가자들의 이름표 조차 없었다. 평소 ‘오모테나시(일본 문화 특유의 극진한 대접)’를 강조하던 일본이 이번 회의에서 얼마나 ‘극진한 홀대’를 했는지는, 한국측 참가자들이 도착한 순간 극명하게드러났다.

회의의 ‘호스트’ 역할을 한 일본 경제산업성의 이와마쓰 준(岩松潤) 무역관리과장과 이가리 가쓰로(猪狩克郞) 안전보장무역관리과장은 한국측 참석자들에게 악수를 권하지도 명함을 내밀지도 않았다.

특히 일본인 참석자들은 한국측과 달리 넥타이와 양복 정장을 입지않고 셔츠 차림이었다. 일본 정부가 실시 중인 ‘쿨비즈’에 맞춘 것이지만, 셔츠까지 걷어올린 모습에서는 상대에 대한 배려는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이날 회의는 발언이 시작되기 전 1분만 취재진에게 공개됐는데, 양측은 한마디도 서로에게 건네지 않고 눈인사도 하지 않은 채 정면만 응시했다.

이번 회의는 회의의 형식을 놓고도 양국이 이견을 보였다. 한국은 규제 강화 조치에 대한 약국간 '협의'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일본측은 규제 강화 조치를 일방적으로 한국에 설명하는 '설명회'라고 주장했다.

회의에서 우리정부는 일본 측이 한국만을 겨냥해 수출 규제를 강화한 이유를 따져 묻고 설명을 요구할 방침이다.

또 일본 측이 수출 규제 이유로 일부 품목의 북한 유입설을 흘리는 등 한국 수출 관리의 부적절성을 거론하는데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일본 측은 한국 대법원 판결에 대한 보복 조치가 아니며 한국 정부의 무역관리에 문제가 있어서 취한 조치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양측은 이날 실무회의를 마친 후 각각 관련 브리핑을 가질 예정이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