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 수출규제 발동] 日언론, 韓 소재국산화 지원등 긴급타전…자국기업 악영향 우려
-니혼게이자이 등 ‘韓정부 반발ㆍ양국 기업 대책’ 일제 보도
-日기업 싱가포르 등서 대체 수출 검토…심사 정보부족 불만도
-아사히, “한국 기업 생산 차질땐 소니ㆍ파나소닉도 사정권”

[헤럴드경제=천예선 기자] 일본 언론들이 일본 정부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개 품목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의 대응을 긴급 타전하며 자국 기업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가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조치임을 인정하면서 무기 제조에 전용될 우려가 있는 기술 수출을 규제하는 것으로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위반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연합]

니혼게이자이신문은 4일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발동으로 일본과 한국 기업들이 대응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며 일본 기업들은 해외에서 대체 수출을 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삼성전자의 재고가 1개월분 정도이고 SK하이닉스는 3개월 미만”이라며 “두 업체들이 공장 가동 중단 사태를 막기 위해 4일까지 최대한 많은 재료를 보내달라고 일본 소재 업체에 요청(SK하이닉스)하는 등 재고 확보를 서두르고 있다”고 전했다.

또 LCD(액정표시장치) 제조공정에 에칭가스를 사용하는 LG디스플레이는 한국 거래처를 통해 재료를 일본에서 조달한다며 거래처의 재고량을 파악하고 일본 이외에서 조달 여부를 조사 중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언론은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한국 정부의 대책도 발빠르게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한국 정부와 여당이 지난 3일 협의해 재료 및 제조장비 국산화 지원에 매년 1조원 예산을 충당하겠다는 구상을 밝히면서 국산화 추진 방침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 민관이 움직이기 시작해 국산화 및 대체 조달이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또 한국 정부가 일본에 대항해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관련 법적 문제 정리 등 구체적인 작업에 착수했다며 강경화 외무장관이 지난 3일 국회에서 “불합리하고 상식에서 벗어난 조치”라고 밝힌 것을 언급했다.

일본 현지 업체들도 대책 마련에 분주한 것은 마찬가지다.

고순도 불화수소 공급사인 일본 스텔라 케미파는 “싱가포르 공장에서 대체 수출도 선택지에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등에 반도체 레지스트(감광재)를 공급하는 일본 TOK는 “수출 허가를 얻기 위해 신청 서류가 훨씬 많아지고 문제가 없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며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일부 기업들은 수출 심사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해 수출 영향을 지속적으로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또 “세코 히로시게 경제산업상은 일본 기업에 끼칠 영향은 주시해나갈 것이라고 했지만 경제산업성도 미래는 끝까지 읽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사히신문 역시 일본 기업으로의 영향 확대를 우려했다.

아사히신문은 “한국 기업의 부품 공급 차질은 세계 완성품 업체의 생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며 “TV의 경우 소니와 파나소닉이, 스마트폰은 미국의 애플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일본의 각 기업들이 수출 규제에 따른 후폭풍을 염려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여전히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아베 신조 총리는 자국 내에서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 조치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자 “현 문제는 국가 간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는 문제”라며 “세계무역기구(WTO)에 반하는 조치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3일 도쿄 지요다구 일본기자클럽에서 열린 여야 7당 당수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일본 NHK방송 등이 보도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오히려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언급해 사실상 현 수출 규제가 일본 정부의 보복 조치임을 인정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che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