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연봉 3배’ 내걸고 인력빼가기…국내 배터리업체들 초비상
-中 CALT 등 국내 업체 전문인력에 잇단 러브콜…연봉 3배 제안도
-“인력유출 둘러싼 국내 업체간 소송전 국면 활용” 분석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계가 중국의 ‘인력 빼가기’ 시도에 초비상이 걸렸다.가뜩이나 국내 업체간 인력유출 관련 법정 다툼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업체들의 ‘브레인 드레인(brain drain·두뇌유출)’이 국내 배터리 산업 경쟁력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이 국내 배터리 업체 전문 인력들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ATL는 기존 연봉의 3배를 제시하는 등의 파격적인 영입 조건을 내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부장급 이상 직원에게 세후 기준 연봉 160만∼180만위안(약 2억7184만∼3억582만원)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헤드 헌터를 통해서 개인적으로만 접근하는 듯하다"고 말했다. 배터리 업계의 부장급 직원 연봉은 통상 1억원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거부하기 힘든 조건으로 보인다.

[CATL 홈페이지 캡처]

중국 업체들의 국내 배터리 기술 인력 빼가기 시도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는 앞서 2017년 한국 배터리 인력을 모집한다는 공고를 낸 바 있고, 지난해 말 삼성SDI 전무는 애플의 배터리 개발 부문 글로벌 대표로 이직하기도 했다.

이번에 이름이 거론된 CATL은 최근 독일공장 투자 규모를 2억4000만유로(약 3171억원)에서 18억유로(약 2조3786억원)로 대폭 확대하는 등 과감한 투자 행보를 보이면서 동시에 국내 기술 인력 빼가기에 나서며 경쟁력 강화에 몰두하는 모습이다.

올해 1∼5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CATL은 점유율 25.4%를 차지해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LG화학(4위), 삼성SDI(7위), SK이노베이션(9위)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합계 점유율 15.8%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업계에서는 올해 불거진 '배터리 소송전'을 틈타 기술유출 논란 없이 조용히 인력을 빼가려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LG화학은 지난 4월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 기술 관련 영업비밀을 침해했다며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델라웨어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이에 SK이노베이션이 지난달 국내 법원에 맞소송을 제기했다.

ITC 소송은 내년 6월 5일 예비판결, 10월 5일 최종판결이 내려질 예정이고, 국내 소송은 현재 재판날짜가 나오지 않은 상태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