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반기 물가상승률 역대 최저 '타이' 기록…"소주성 영향 vs 저성장 탓"
집세, 13년 만에 최저…서비스 물가 낮아
근원물가 20년 만에 최저…디플레이션 우려도
연간 물가상승률 '0%대' 기록 전망

[헤럴드경제=정경수 기자]올 상반기 물가 상승률이 2015년에 이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간으로도 1999년, 2015년에 이어 역대 세번째로 0%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통계청이 2일 공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8(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0.7% 상승했다. 지난 1월 0.8% 오른 데 이어 2월 0.5%, 3월 0.4%, 4월 0.6%, 5월 0.7% 상승해 6개월 연속 0%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2015년 2월∼11월(10개월) 이후 최장기간 0%대 물가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당시에는 저유가 기조의 영향이 컸다. 2015년 이전에 6개월 이상 0%대 상승률을 기록한 적은 1999년 2월~9월(8개월)이 유일했다.

상반기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0.6%로 2015년(0.6%)에 이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999년(0.7%)과 2016년(0.9%)에도 1~6월까지 전년누계비 상승률이 0%대를 기록했지만 이번처럼 0.6%까지 낮아진 것은 2015년과 올해 밖에 없었다.

집세, 공공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 물가의 둔화가 전반적인 물가 안정세를 가져왔다. 서비스는 전체 물가지수에서 약 55%의 비중을 차지한다. 공동주택관리비(5.5%), 치킨(5.2%) 등 개인서비스는 전년 동월 대비 1.9% 오른 반면 휴대전화료(-3.5%), 고등학교납입금(-3.0%) 등 공공서비스가 1년 전보다 0.2% 하락했다. 특히 집세가 -0.2% 상승률을 기록했다. 2006년 2월(-0.2%) 이후 최저치다. 전세가 0.1% 올랐지만, 월세는 0.5% 하락했다.

여기에 석유류 등 공업제품 물가 둔화도 영향을 미쳤다. 석유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2%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14%포인트 끌어내렸다. 내달까지 유류세를 7% 한시적으로 인하한 영향이다. 전체 공업제품은 보합세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휘발유 0.9%, 경유 0.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 결과 지난달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근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7% 상승하는 데 그쳤다. 1월~6월 전년 누계비 상승률은 0.8%에 불과했다. 1999년 상반기 0.2% 하락한 이후 2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소비자물가에서 국제유가, 농산물 값 등 예측이 어려운 공급 측 요인을 뺀 근원물가는 수요 측면에서 기조적인 물가 추세를 살펴볼 수 있는 수치다.

근원물가가 20년만의 최저치를 기록한 것을 두고 해석이 갈린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낮은 공급 측 물가 영향으로 해석한다. 문재인 정부 들어 소득주도성장 기조에 따라 복지 확대, 부동산 시장 억제책 등이 시행돼 공급측 물가가 낮게 유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부 민간 연구소는 일본식 디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하락과 경기침체)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경기 부진에 따른 마이너스 수요압력이 저물가 현상을 낳았다고 분석했다. 올해 물가가 0.7% 상승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수요가 위축됐다는 의미다.

결국 낮은 공급 측 물가와 저성장에 따른 수요 부족, 두 가지 원인 모두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어느 영향이 더 우세하냐에 따라 현 저물가 현상을 진단하고 제시하는 해결책이 달라진다. 수요 부족 현상 문제를 지적한 KDI는 최근 경제전망 보고서를 내며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에 통화당국도 보조를 맞출 것을 권고했다. 금리 인하가 필요한 것 아니냐는 의견을 낸 것이다.

연간 물가상승률은 1%를 밑돌 것으로 보인다. 과거 1999년(0.8%), 2015년(0.7%)에 연간 물가상승률이 0%대를 기록한 적이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말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4월 전망치(1.1%)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도 "하반기에 일부 택시요금이 오르겠지만 2학기 고교 납입금 무상화, 7∼8월 전기료 인하가 예정돼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크게 높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kwat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