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한류’ 컨트롤타워, 쪼그라드나
내년 목표 ‘금융협력센터’ 축소 가능성
기재부, 예산안 검토 뒤 ‘슬림화’ 주문
축소 땐 주아세안대표부 산하조직될 수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 대통령 직속 신(新)남방정책특별위원회(신남방특위)가 준비해 오던 ‘한-아시아 금융협력센터’의 조직 규모가 애초 계획보다 축소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금융사들의 동남아시아권 진출을 지원하고 현지 국가들과 금융 분야 협력을 맡는 ‘금융 외교채널’을 목표로 신남방특위가 마련한 예산안에 기획재정부가 제동을 걸면서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남방특위ㆍ기재부ㆍ금융위원회ㆍ연구용역기관 등 유관기관 실무자들이 지난 4일 금융협력센터의 예산안을 협의를 위해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기재부는 센터의 설립취지엔 공감하지만 인력ㆍ조직의 규모는 보다 슬림하게 가야한다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신남방특위는 센터 설립ㆍ운영을 위한 예산안을 이달 중 제출하고, 내년 예산을 확보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기재부가 예산안 재검토 필요성을 거론하면서 센터의 인원이나 사업 규모를 줄여야하는 상황이 됐다.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기재부의 기본적인 입장은 ‘처음부터 조직을 크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라며 “예산 부담을 최소로 해야 한다며 사업계획을 재점검 하라는 뜻을 전달받았다”고 말했다.

한국금융연구원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이 공동으로 벌인 센터 설립 방안 연구용역에선 3가지 설립형태가 제시됐다. 이에 따르면 ▷독립적인 기구 ▷주아세안(ASEAN)대표부 소속 기구 ▷국제기구 등이다.

신남방특위는 태국 방콕 또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독립적인 기구로 설치하는 방안을 주요하게 검토했다. 센터장 산하에 5개 팀을 꾸리고 유관기관에서 파견한 공무원들이 업무를 맡는 식이다.

센터의 주요 업무는 국내 금융사의 현지 진출을 지원, 현지 금융시장의 연구ㆍ조사, 현지 금융당국, 금융사와 네트워킹, 현지 진출하는 국내 기업에 금융 서비스 지원 등으로 설정했다.

하지만 예산을 줄여야 한다면 현재 자카르타에 있는 정부의 주아세안대표부 산하 조직으로 센터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신남방특위가 검토한 애초 그림과는 크게 달라진다.

연구용역기관의 한 관계자는 “(주아세안대표부로 들어가면) 운영비와 사업비를 포한한 예산 규모가 3분의 1 수준이 된다”며 “사업비 기준으로 200억원에서 80억원 수준으로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신남방특위는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재조정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신남방특위 관계자는 “사업계획을 결정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고 예산을 어떻게 집행할 것인지도 다시 논의하고 있다”며 “이달 말까진 확정하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