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영화 ‘기생충’ 관객 370만…우리·기업銀, 투자수익 기대감
개봉 일주일…손익분기점 눈앞
투자조합 통해 간접투자



칸 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영화 ‘기생충’이 개봉한 지 일주일만에 손익분기점을 눈 앞에 두면서 투자사로 참여한 일부 은행의 투자수익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달 3일 현재 374만명(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관객몰이를 한 이 영화는 30만명만 더하면 손익분기점에 닿는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은 투자조합을 통해 ‘기생충’에 간접투자를 했다. 이들 은행의 투자조합 지분율을 감안한 투자금은 기업은행 1억2000만원, 우리은행은 3억원이다.

‘기생충’의 순제작비는 135억원. 여기에 광고홍보(P&A)비용을 더한 총제작비는 17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125억원은 투자ㆍ배급사인 CJ ENM이 댔고 나머지 제작비는 25여곳의 투자사들이 모았다.

기업은행은 ‘IBK금융그룹유니온콘텐츠투자조합’을 통해 간접적으로 1억2000만원을 투자했다. 투자조합은 지난 2015년 8월에 100억원 규모로 조성됐고 기업은행은 여기에 30억원을 출자했다.

투자조합은 일종의 펀드로, 운용사가 투자할 만한 영화를 발굴하고 심의해 투자를 결정한다. 조합은 ‘기생충’에 총 4억원을 댔다.

기업은행은 영화투자계에선 ‘마이더스의 손’으로 통한다. 그간 ‘명량‘, ’신과함께’ 시리즈 등 흥행작에 투자사로 참여했다. 특히 1600만명이 본 ‘극한직업’(올 1월 개봉)으로 잭팟을 터뜨렸다.

기업은행의 영화 투자는 간접ㆍ직접 방식을 병행한다. 직접투자는 본점의 문화콘텐츠금융팀에서 영화 발굴, 평가 등을 맡는다. ‘극한직업’엔 직접투자 7억원, 간접투자로 9000만원이 각각 투입됐다. 결과적으로 400% 수준의 수익률을 거뒀다.

우리은행은 ‘우리은행-컴퍼니케이한국영화투자조합’을 통해 간접적으로 3억원을 댔다. 이 투자조합은 지난 2017년 초 120억원 규모로 조성됐고 우리은행은 30억원을 출자했다. 조합은 ‘기생충’ 투자금으로 총 12억원을 책정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조합을 설정한 이후 가장 큰 규모의 투자여서 이번 영화의 흥행 여부가 관심사”라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영화에 직접적으로 투자사로 참여하진 않는다. 문화콘텐츠 분야는 투자처로서 리스크 변동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지금까지 39편의 영화에 투자자로 참여했다.

박준규 기자/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