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각개전투 성과 있었다…볼턴ㆍ폼페이오도 ‘대북 대화’ 약속
-文대통령, 트럼프 대통령 만나기 앞서 두 인사 면담
-“볼턴ㆍ폼페이오, 北과 역내 문제서 긴밀 협력키로”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영빈관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등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왼쪽부터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문재인 대통령. [연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핵심참모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11일(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북한 비핵화를 두고 한국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고 미 국무부가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기 앞서 백악관 영빈관에서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을 만나 50분간 면담했다. 문 대통령은 뒤이어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도 따로 만났다. 이들은 하나같이 미 행정부 내에서 대북 강경론을 주도하고 있는 매파 인사들로,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각개전투식의 설득작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됐다.

문 대통령이 이들을 한꺼번에 만난 것은 정부 차원에서 한미정상 간 ‘톱다운’ 대화를 한 목소리로 뒷받침해달라는 의중으로 읽혀졌다. 청와대 측은 “이들과의 만남은 비공개로 진행됐지만, 공감대의 폭을 넓히는 소기의 성과를 냈다”고했다.

로버트 팔라디노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한미정상회담이 끝난 뒤 가진 정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과 두 사람(폼페이오ㆍ볼턴)과의 면담을 두고 “두 사람은 한미동맹 관계의 항구적인 힘을 높게 평가했고, 북한과 역내 문제에 대해 한국과 긴밀한 협력을 지속할 것을 약속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한국은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을 만난 자리에서 “미북간 대화 모멘텀을 유지하고 톱다운 방식으로 성과를 확보하는 게 필요하다”며 “실제로 그게 가능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고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서면브리핑에서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최근 한반도 정세와 향후 북미 간 대화를 이끌기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설명했다. 이어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에게 하노이 정상회담에 대한 미국 측 평가와 대응방안을 청취했다.

문 대통령은 또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의 공헌으로 한미동맹이 더 견실해지고 있다”며 “계속 한국 측 카운터파트들과 긴밀히 공조ㆍ협의해달라”라고 당부했다.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은 그 자리에서도 “북한과 대화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겠다”며 “여러 수준에서 다각적인 대북 대화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외교 의전상 정상회담 직전 상대국 각료, 참모를 먼저 면담하는 건 이례적이다. 문 대통령은 1차 북미정상회담이 한때 취소됐던 지난해 5월 방미해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하기 전에도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을 먼저 먼저 만난 바 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