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유에서 공유로]“카셰어링, 사회적으로 유의미한 서비스…관련 법규 정비해야”
- 윤보경 그린카 IMC 팀장 인터뷰
- “서비스 초기, 20대 초반 이용자 다수…최근엔 고객 다양해지고 있어”
- “카셰어링, 장점 많은 서비스…뒷받침할 제도 정비 필요”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그린카 사옥 1층 카페에서 만난 윤보경 그린카 IMC 팀장이 카셰어링 서비스 이용자 현황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박혜림 기자/rim@]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카셰어링 초창기에는 아무래도 ‘자차’가 없는 학생 수요가 많았어요. 하지만 몇 년 새 카셰어링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많이 확산되면서 카셰어링 이용을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보는 이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그린카 사옥 1층 카페에서 만난 윤보경 그린카 IMC 팀장은 카셰어링 서비스 이용자 현황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20대가 70%, 30~40대가 나머지 30%에 포진해 있다. 여전히 20대가 압도적이긴 하지만 서비스 초기와 비교하면 고객 층은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법인형 카셰어링 회원수도 2012년 270명에서 지난해 2만3000명으로 88배 증가했고, 가입기업도 1만개를 돌파했다. 카셰어링 서비스의 장점을 알아본 이들이 많아졌다는 증거다.

윤 팀장은 카셰어링 서비스의 사회적 효과를 세 가지로 꼽는다. 첫째는 경제성이고, 둘째는 공간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며, 셋째는 환경 친화적이라는 점이다.

윤 팀장은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하면 굳이 차를 사지 않아도 되니 차량 유지비를 지출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주차 공간에 대한 걱정도 사라진다”면서 “여기에 차량 감소 효과까지 있으니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저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기차 확산에도 도움이 된다. 그린카는 지난해 기준 전기차 136대를 포함해 친환경 자동차를 총 474대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유독 뜨겁다. 이용률만 놓고 봤을 때 내연기관 차의 1.5배 이상이다.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기차를 이용한 고객이 8만명이다. 전기차에 관심은 있지만 당장 구입을 망설이는 회원들이 그린카 덕분에 전기차를 경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장점 많은 서비스지만 관련 법규는 갈 길이 멀다. 최근에야 제도 정비가 이뤄지고 있다.

윤 팀장은 “현재 카셰어링 서비스는 자동차대여사업법 안에 있는 렌터카 법을 따르고 있는데, 이로 인한 불편이 적지 않다”고 토로했다.

예컨대 공유차는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차 한 대당 주차구역 하나씩 등록 주소지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고객이 과속 등으로 과태료를 내야하는 상황이 생길 때 바로 이 주차구역으로 과태료 우편물이 날아온다는 것이다.

“카셰어링 서비스 특성상 무인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우편물이 날아와도 모르고 넘어가는 불편이 적지 않았다”며 “관련업체들의 지속적인 요청으로 최근에야 제도 정비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등록된 주소지 외 지역에서는 영업기간이 한 달 이내인 것도 걸림돌이다.

해외의 경우 카셰어링 편도 서비스가 가능해 고객이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더라도 다시 차를 서울까지 가져오지 않아도 된다. 국내는 주소지 외 지역 영업기간이 한 달 이내에 불과해 편도 서비스를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최근 영업기간이 최장 3개월로 늘어났지만 여전히 아쉬운 상황이다.

윤 팀장은 “2030년께 자율주행이 보편화되면 더 이상 내 차를 소유한다는 개념이 무의미해지고 어떻게 이동하느냐가 중요해질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라며 “10년 안에 벌어질 일들에 대비하기 위해 기업은 물론 정부도 함께 고민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