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학생은 감소하는데 사교육비만 증가’…1인당 사교육비 29만1000원 ‘역대 최고’
- 6년 연속 상승…예체능 사교육 늘고 방과후 수업 참여는 줄어
- ‘입시컨설팅’ 회당 약 12만원…저소득ㆍ고소득 사교육비 격차 5.1배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학령인구 감소에도 초ㆍ중ㆍ고등학생 사교육비가 6년 연속 증가하면서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참여율 역시 2016년 이후 증가세가 계속됐다.

12일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초ㆍ중ㆍ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9만1000원으로, 작년보다 7.0%(1만9000원) 증가했다. 사교육비는 6년 연속 증가하며 2007년 조사 시작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증가 폭도 역대 가장 컸다.

이번 조사는 전국 1486개교 학부모 4만여명과 교사 등을 대상으로 했다.


학교급별 1인당 사교육비는 초등학생 26만3000원(전년대비 3.7%↑), 중학생 31만2000원(7.1%↑), 고등학생 32만1000원(12.8%↑)이었다. 중ㆍ고교생 월평균 사교육비는 조사 이래 처음으로 30만원을 넘겼다.

교과과목 사교육비는 1인당 월평균 21만3000원으로 1만5000원, 7.6% 증가했다. 과목별로는 국어 2만1000원, 영어 8만5000원, 수학 8만3000원, 사회ㆍ과학 1만2000원이었다.

교육당국은 지난해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방안 공론화 과정을 거치면서 대입제도의 불확실성이 가중된 것이 사교육비 증가의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했다.

사교육비 총 규모는 약 19조5000억원으로 8000억원(4.4%↑) 증가했다. 사교육비는 2009∼2015년 감소세를 보이다 2016년부터 계속 증가세다.

이 중 교과 사교육비는 14조3000억원으로 5.0%(7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0.6% 증가와 비교해 증가 폭이 커졌다.

과목별 규모는 영어 5조7000억원(전체 중 29.1%), 수학 5조5000억원(28.5%), 국어 1조4000억원(7.1%)이었다.

영어 사교육비 규모는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영어가 절대평가로 바뀌면서 2017년 조사 때는 2.2% 줄었다가 지난해 다시 4.6% 증가했다.


예체능과 취미ㆍ교양 사교육비는 5조1000억원으로 3.1% 늘었다. 방과후 학교 참여율은 51.0%로 전년 대비 3.7%포인트 줄면서 5년 연속 감소했다.

사교육을 받지 않아 사교육비가 ‘0원’인 학생들을 제외하고 실제 사교육을 받은학생들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9만9000원(4.6%↑)이었다.

사교육 참여 학생 중 초등학생은 월평균 1인당 31만9000원(3.9%↑), 중학생은 44만8000원(3.7%↑), 고등학생은 54만9000원(7.6%↑)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교육 참여율은 1.7%포인트 상승한 72.8%였다. 사교육 참여율은 2007년 77%에서 2016년 67.8%까지 떨어졌다 이후 상승세다.

초등학생 사교육 참여율은 82.5%로 0.1%포인트 감소했으나 중학생(69.6%. 2.2%p↑)과 고등학생(58.5%. 2.6%p↑)은 증가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일반교과가 53.4%(1.3%p↑), 예체능 및 취미ㆍ교양이 42.5%(1.4%p↑)였다.


이번 통계에 처음 포함된 ‘진로ㆍ진학 학습 상담’(컨설팅) 참여율은 3.6%였다. 초등학생 2.9%, 중학생 3.7%, 고등학생 4.7%가 상담 사교육을 받았다. 1인당 연간 2.6회 상담을 받고 회당 평균 11만8000원을 썼다.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50만5000원, 200만원 미만 가구는 9만9000원으로, 5.1배 차이가 났다.

지역별로는 서울(41만1000원)ㆍ경기(32만1000원)·대구(30만3000원) 등이 높았고, 충남(18만7000원)이 가장 낮았다.

자녀가 1명인 경우 1인당 사교육비는 32만4000원, 2명 30만8000원, 3명 이상 22만5000천원으로 자녀가 적을수록 1인당 사교육비를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관계자는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방안을 안정적으로 추진해 학생ㆍ학부모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한편, 사교육 유발 요인으로 지적되는 논술ㆍ특기자전형을 축소하는 등 대입 전형 단순화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교육 증가에는 학력에 따른 임금 격차 등 사회 구조적 요인도 있다고 보고, 양질의 고졸 일자리를 확대하고 고졸 취업을 활성화하겠다”면서 “지역 여건에 맞는 사교육 경감 대책을 위해 시ㆍ도 교육청과도 협력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