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거래 플랫폼’ 개발, 한발 앞으로
의무적 배출권 생성ㆍ거래에 AI 활용…파리 신기후체제 문제점 해결 기대

청정개발체제 작업증명 인공지는 기록장치(Work Owner Device) 인공지능 회로 [씨피이셀 제공]

[헤럴드경제=정경수 기자]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 청정개발체제(CDM) 전문 개발업체인 씨피이셀이 최근 의무적 탄소배출권 생성에 사용되는 기록장치를 개발해 지지부진한 배출권 거래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개발한 기록장치는 완성 로드맵 총 4단계 가운데 1단계인 ‘청정개발체제 작업증명 인공지능 기록장치’(Work Owner Device)로, 개인 또는 기업이 탄소량의 일부를 저감하면 이 저감된 탄소량을 의무적 탄소배출권(CERs)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2단계로 개발 중인 기술은 의무적 탄소배출권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현지의 기후에너지, 연료성상 비교 등 정보를 받아 입력 값을 지도화(매핑)해 주는 함수를 학습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이라고 씨피이셀은 6일 밝혔다.

2단계 기술이 완성되면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각 개인이 하나의 지갑(월렛)으로 블록화된 후 연결된다. 시스템이 개인 또는 기업의 작업 및 현재 위치, 방법론, 모니터링 등 정보를 한꺼번에 수집해 국제인증기관인 유엔기후변화협의회 집행위원(UNFCCC-EB)에 전달된다. 탄소배출권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다.

최종 기술 상용화 시기는 2021년으로, 씨피이셀은 3월 중 1단계 기술의 최종적인 시뮬레이션을 마친 후 베트남 CDM 프로젝트 지역에 부착해 시험 가동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씨피이셀이 추진 중인 CCET 프로젝트는 국가, 기업, 개인간 탄소배출권 생성 및 거래를 투명하게 이뤄지도록 검증하는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거래 플랫폼이다. CDM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요건인 ‘측정ㆍ보고ㆍ검증이 가능한’ MRV시스템이 디지털화돼 운영될 수 있도록 CDM의 기본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다.

씨피이셀은 CCET 프로젝트의 기술 개발 설계와 특허 출원을 마쳤고, 현재 기술을 실험 중으로, 기술이 상용화되면 의무적 탄소배출권 생성 과정에서 파리 신기후체제의 투명성, 정확성 등 6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kwat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