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정은 3800㎞ 귀국길도 전용열차로…최단 노선 中내륙 북상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과 접경지역인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에 도착해 환송단에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

-귀국길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안 만날 듯

[헤럴드경제]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2차 북미정상회담과 베트남 공식 친선 방문 일정을 모두 마치고 2일 귀국길에 오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국경을 넘어 중국 핑샹을 통과한 뒤 최단 노선으로 북상하고 있다.

2일 철도 소식통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전용 열차는 오후 1시께 베트남 동당역을 출발해 3시께(현지시간) 핑샹역을 통과, 7시께 난닝역에 도착해 정비를 마친 뒤 다시 출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열차는 난닝에서 동북쪽으로 기수를 향해 광저우를 거치지 않고 창사를 향해 갈 것으로 보인다.

한 소식통은 “난닝역 주변이 통제됐다가 풀렸다”면서 “예상 노선을 볼 때 광저우는 거치지 않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날 핑샹역에서 난닝으로 가는 철도 노선의 기존 열차들이 대거 연착되고 난닝역에는 대형 가림막이 설치됐다.

또한, 북·중 접경인 단둥에도 일찌감치 통제 동향이 포착됐다.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잇는 중조우의교가 훤히 내다보이는 중롄 호텔에는 이날부터 5일까지 예약이 안 된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의 전용 열차는 북한에서 베트남에 올 때와 마찬가지로 3500㎞가 넘는 철길을 60시간가량 달리며 중국 내륙을 또다시 관통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과 북한 내 구간을 합하면 총 길이는 약 3800㎞에 달한다.

베이징을 거치지 않고 현재 속도와 노선으로 간다면 김 위원장은 5일 새벽 단둥을 통과해 압록강을 건널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베트남의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성과 없이 끝난 상황이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나지 않고, 창사,우한, 톈진, 선양, 단둥을 거쳐 곧바로 평양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중국이 오는 3일부터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열려 시 주석을 비롯한 중국 지도부가 가장 바쁠때인 데다 김 위원장 또한 일정 강행군으로 힘든 기색이 역력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 소식통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전용기인 참매 1호의 동향은 중국에서 포착되지 않고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