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중앙은행, 추가 통화완화 여력 제한적”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주요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이 완화 기조로 돌아서는 가운데, 일본 중앙은행(BOJ)은 추가 완화 여력이 낮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BOJ 통화정책 추가완화 가능성 점검’에서 “BOJ가 현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며 추가완화 가능성을 제한적으로 봤다.

그 배경으로는 BOJ의 국채 매입 여력이 한계 상황에 봉착했다는 점을 들었다. BOJ의 국채 보유 비중이 이미 50%에 달해서다. BOJ는 2016년 9월 통화정책 운영목표를 본원통화 확대에서 수익률곡선 관리로 변경한 데다, 미 장기금리 하락 전환 상황에서 추가 매입 확대 여지가 거의 없다는 평가다.

BNP파리바는 BOJ가 명시적으로 연간 80조엔 규모의 국채매입 목표를 유지하는 건 시장에서 테이퍼링 인식에 의해 엔화 강세 여건이 형성되는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국제금융센터]

BOJ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과 장단기 금리차 축소 영향으로 은행권의 수익성이 저하되고 있다는 우려도 상당한 상황이다. 이를 감안할 때 정책금리를 추가 인하할 경우 비용 대비 효과가 낮다고 봤다. 단, 경기둔화와 디플레이션 위험 및 그에 따른 엔화 강세 압력이 커지는 상황에서는 금리인하를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

제한적인 국채매입 여력과 마이너스 금리의 부작용 등을 감안 시 실질적으로 BOJ가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은 ETF 매입 확대뿐이라는 시각도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최근 금융시장이 안정된 만큼 경기하강 압력이 심해지기 전까지는 현재의 통화정책 조합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앞으로 미국과의 통화정책 차별화 축소에 따른 엔화강세 압력과 물가 전망의 추가 하락이 예상되는 만큼 BOJ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커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