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미회담 결렬 침묵한 北 언론
-노동신문ㆍ 조선중앙통신 등 “생산적 대화 이어가기로” 희망적 메시지만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북한 매체들이 1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정상회담과 관련 회담이 무산된 점은 언급하지 않은 채 북미 양측이 새 정상회담을 약속하고 생산적인 대화를 이어나가기로 했음을 일제히 강조하고 나섰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 소식을 1∼2면에 걸쳐 보도했다. 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고, 생산적인 대화를 이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전날 양측이 합의문에 서명하지 못한 채 회담이 결렬됐다는 언급은 하지 않았다. [연합]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단독회담과 확대회담 소식을 전하며 “두 나라 사이에 수십여년간 지속된 불신과 적대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전환해나가는 데서 중대한 의의를 가진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북한 비핵화 및 경제 제재 완화 합의에 실패했다는 이번 회담의 핵심을 빼논 채, 우호적인 분위기만을 강조한 것이다.

통신은 “싱가포르 공동성명을 이행하기 위한 역사적인 노정에서 괄목할만한 전진이 이루어졌다는 데 대하여 높이 평가했다”며 “이를 토대로 북미 관계개선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가는 데서 나서는 실천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건설적이고 허심탄회한 의견교환을 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양국 정상이 “조미(북미) 관계의 새로운 역사를 열어나가는 여정에서 피치 못할 난관과 곡절이 있지만 서로 손을 굳게 잡고 지혜와 인내를 발휘하여 함께헤쳐 나간다면 북미 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나갈 수 있다는 확신을 표명했다”고 덧붙였다. 또 “서로에 대한 존중과 신뢰를 더욱 두터이 하고 두 나라 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도약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북미 관계의 획기적 발전을 위하여 생산적인 대화들을 계속이어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도 13장의 사진을 1∼2면에 실었다. 사진 속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악수하거나 대화하며 활짝 웃는 모습이 다수였다.

이와 관련 정치권에서는 북한 매체들이 회담 결렬 소식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김 위원장이 평양을 떠날 때부터 북한 주민들에게 정상회담 개최 소식을 알린 만큼 아무런 성과가 없으면 김 위원장의 권위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의식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북한 언론들이 북미 정상이 추후 만남을 약속했다는 점과 생산적 대화를 이어가기로 했다는 대목은 트럼프 대통령의 “계속 노력해 나가겠다”는 언급과도 비슷한 대목이다. 2차 정상회담 결렬에도 경제 제재 완화를 위해서는 희망의 끈을 계속 잡겠다는 의미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