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미정상회담 D-3] 김정은 ‘열차 대장정’…회담 성과 의지 보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2차 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열차를 이용해 23일 오후 평양역을 출발했다. 김 위원장은 60여시간에 걸쳐 장장 4500㎞의 철길을 달리게 된다. [헤럴드DBㆍ노동신문 홈페이지]
-4500㎞ㆍ60시간 국제사회 ‘시선끌기’
-대미메시지 발신하고 中 ‘뒷배’ 과시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선택은 다시 ‘1호 열차’였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4일 김 위원장이 “2월27일부터 28일까지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하노이시에서 진행되는 2차 조미수뇌(북미정상)상봉과 회담을 위해 평양을 출발했다”며 “23일 오후 평양역을 출발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2차 북미정상회담과 이를 전후한 한 베트남 공식우호방문 길에 오르면서 자신의 전용기가 아닌 전용열차를 이동수단으로 선택한 것이다.

▶정치ㆍ외교ㆍ경제적 ‘다목적 카드’=김 위원장이 평양에서 하노이까지 4500㎞, 60시간 이상 소요되는 열차를 최종낙점한 것은 다목적 카드로 풀이된다. 우선 정치적ㆍ외교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핵담판을 앞두고 중국을 장시간 경유함으로써 자신의 ‘뒷배’에 중국이 있음을 시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이동하는 내내 국제사회의 이목을 집중시킴으로써 대미메시지 발신과 선전효과 극대화도 도모할 수 있다. 중국은 철도가 가장 붐비는 춘제 기간 주민들의 불편과 불만을 감수해가며 김 위원장의 열차 이용을 배려했다는 점에서 북중 밀월관계를 다시 한번 부각시켰다.

경제적으로는 경제ㆍ핵 병진노선을 접고 경제건설총집중노선에 나선 김 위원장이 중국과 베트남의 발전상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해보려는 의도가 내포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조부 김일성 주석과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둘러봤고, 중국 개혁ㆍ개방의 실험장으로 불리는 광저우(廣州)를 들를 가능성도 거론된다. 김 위원장의 비서격인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은 하노이 사전점검에 앞서 광저우에서 하룻밤을 묵은 바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도 전용열차가 비행기보다 낫다는 평가다. 김 위원장의 전용열차는 웬만한 폭발에도 끄떡없는 방탄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위성항법시스템과 위성텔레비전, 위성전화 등 첨단시설과 침실, 집무실, 회의실 등 완벽에 가까운 업무환경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용차량과 대규모 수행단 운송에도 열차가 비행기보다 유리하다. 김 위원장 입장에서 자신과 국가의 사활이 걸린 담판에 임하는 마당에 최적의 환경 속에서 준비하겠다는 속내가 읽힌다.

▶北 ‘金 평양부재’ 이례적 신속 보도 눈길=북한 관영매체들이 김 위원장의 베트남행 출발 소식을 신속보도한 점도 눈길을 끈다. 북한 관영매체들이 김 위원장의 출발소식을 보도한 것은 24일 오전 6시5분께로 베트남 도착까지 이틀이나 남은 시점이다. 작년 1차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때는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 도착한 뒤 출발소식을 전했다. 최고지도자의 동선을 사전에 공개하지 않는 북한 관영매체의 보도행태에서 달라진 이례적인 일이다. 김 위원장의 ‘평양부재’에도 불구하고 체제안정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점을 과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정상국가를 지향하는 김 위원장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북한 관영매체가 김 위원장의 출발소식을 비교적 이른 시점 공개한 것은 회담 성과에 대한 의지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내부에서는 1차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도 불구하고 북미관계와 대북제재에서 큰 변화가 없자 간부들과 주민들 사이에서 적잖은 불만이 제기된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 위원장으로서는 평양역에서 배웅한 당과 정부ㆍ무력기관 간부들이 충심으로 축원한 ‘훌륭한 성과’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미 여러 경로를 통해 비핵화의지를 밝힌 김 위원장은 다시 자신의 북미정상회담 출발 소식을 비교적 일찍 알림으로써 다시 한번 미국의 상응조치를 촉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7~28일 하노이에서 북한의 영변 핵시설 폐기, 비핵화 로드맵,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 핵물질 반출과 미국의 북미연락사무소 설치, 종전선언, 평화프로세스 로드맵, 대북제재 완화ㆍ해제를 비롯한 상응조치를 놓고 담판을 벌인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