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경수 특검 감찰 논란 野 “김경수에 정보 흘렸나”
-청와대 입장표명 촉구
-청와대 통해 김경수에게 수사정보 흘러들어갔을 가능성도 의심

지난 30일 실형을 선고받고 호송차로 향하는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오전에 선고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는 ‘드루킹’ 김동원 씨 [연합뉴스]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청와대가 김경수 경남도지사의 드루킹 연류 의혹 특검 수사를 조사한 것과 관련, 야권은 청와대를 통해 김경수에게 수사 내용이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을 의심했다. 독립적인 특검의 수사 내용이 청와대의 주관 아래 피의자에게 전달됐다는 의혹이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은 11일 “구속된 김경수와 청와대의 특수관계를 볼 때, 당시 피의자였던 김 지사에게 (관련 정보가) 흘러갔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태우 전 수사관이 청와대 특감반장이 드루킹 특검에 제출된 USB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것을 지시했다는 폭로와 관련된 내용이다.

하 최고위원은 “김경수 지사에게 특검 수사정보가 흘러갔다는 명백한 범죄”라며 “이런 의혹은 (묵묵부답 중인) 청와대가 자초한 것으로, 이 정보가 어디까지 유출된건지 수사를 통해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1심에서 유죄를 받은 김 지사의 여론 조작 관련, 청와대 및 윗선의 개입 여부를 추가 조사해야 한다는 의미다.

자유한국당도 김 전 수사관 추가 폭로와 관련, 청와대를 겨냥했다. 정양석 자유한국당 원내수석부대표는 “특검에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것은 반 헌법적인 행위”라며 “청와대가 김 전 수사관의 폭로에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것과 관련, 청와대의 조속한 입장 표명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정 부대표는 “김 전 수사관이 말한 증거는 검찰도 가지고 있다고 하니, 검찰은 조국과 박형철, 백원우 등에 대해 수사에 나서야 한다”며 “신재민 전 사무관, 손혜원 의원, 딸 문다혜 해외이주 등 국민적 의혹에 뭉개기로 나가는 청와대의 행태가 국민과의 소통이고 촛불 정신이 맞는지 의심”이라고 압박했다.

한편 김태우 전 검찰 수사관은 지난 10일 이인걸 전 청와대 특감반장이 드루킹 김동원 씨가 특검에 제출한 USB에 대해 알아보라고 지시했다고 추가 폭로했다. 김 전 수사관은 “2018년 7월 25일 오전 11시 11분, 특감반장 이인걸은 저를 포함한 검찰 출신 특감반원 4명에게 텔레그램 단체방에서 언론기사 링크를 올렸다”며 “이거 맞는지, USB에 대략 어떤 내용 있는지 알아보면 좋겠는데”라고 텔레그램 단체방에서 지시가 있었음을 밝혔다.

김 전 수사관은 “특감반장이 특감반원들에게 지시한 텔레그램 지시내용과 박모 특감반원의 보고내용은 제 휴대폰에서 발견됐다. 증거가 완벽히 보존돼 있다”며 “서울동부지검은 주저하지 말고 이 전 특감반장을 소환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 전 특감반장에게 위와 같은 지시를 시킨 사람이 누군지 저는 알고 있지만 수사로 밝혀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