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본은 보아라”…마지막 가는 길까지 ‘사죄하라’ 메시지
故 김복동 할머니 영결식
시민과 함께 日대사관 앞서 노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발인식이 엄수된 1일 오전 추모행렬이 서울광장을 출발해 일본대사관으로 향하고 있다. 양팔을 벌리고 환한 표정을 짓는 김 할머니의 대형사진 뒤로 시민들이 함께 행진하며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연합]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회에 고발하기 위해 일평생 인권운동에 헌신한 김복동 할머니(94)의 발인이 1일 연세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됐다.

이용수(92) 할머니는 말없이 고(故) 김복동 할머니의 관을 실은 운구차를 어루만졌다. 일본의 사죄가 있기 전엔 그 어떤 말도 고인에게 위로가 될 수 없음을 알고 있기에, 이 할머니의 얼굴엔 슬픔보다 무거운 비장함이 서렸다. 김 할머니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기 위해 가족과 정의기억연대, 평화나비네트워크 등 관계자 30여명이 모였다.

이날 오전 6시 32분께 김 할머니의 관이 모습을 드러내자 곳곳에선 울음을 참아내는 소리가 새어나왔다. 상주 역을 맡은 윤미향 정의기억연대대표는 김 할머니의 관 위에 “훨훨 날아 평화로운 세상에서 길이길이 행복을 누리소서”라고 마지막 인사를 적었다. 이용수 할머니는 이후 운구 차량으로 향하는 김 할머니의 관 바로 뒤에 서서 말없이 애통한 표정을 지었다. 살아있는 언니를 어루만지듯, 닫힌 차문을 한번 쓰다듬었다.

발인식 후 김 할머니가 가장 먼저 들른 곳은 일평생 벗이었던 길원옥(91) 할머니가 있는 ‘평화의 우리집’이다. 서울 마포구 연남동에 있는 평화의 우리집은 김 할머니가 생전에 머물렀던 위안부 피해자 쉼터다.

“왜 이렇게 빨리 가셨어” 김 할머니와 이곳에 머물던 길 할머니는 고인의 영정을 보고 한달음에 걸어나왔다. 양손으로 영정사진을 꼭 쥔 길 할머니는 “먼저 좋은 데 가서 편안히 계세요. 나도 이따가 갈게요”라고 말했다. 할머니가 머물던 윗층 방 장롱을 열자 고인이 생전 입었던 옷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윤미향 대표가 옷들을 바라보며 “할머니 좋은 외출복, 수요시위 갈때 입었던 저 옷들 어떡하지? 그대로 잘 둘게, 할머니”라고 말하자 현장은 눈물바다가 됐다.

고인을 태운 운구차는 이어 서울시청으로 향했다. 영결식의 마지막 장소인 서울 종로구의 구 일본대사관을 향한 노제를 위해서다. 서울시청 앞에는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고 일본의 만행에 항의하기 위한 시민들도 함께 했다. 이날 오전 8시 30분 시작한 노제는 서울광장부터 광화문, 안국역을 차례로 지난 후 일본대사관 앞까지 행진했다.

마지막 가는 길까지 일본에게 사죄를 요구한 고인의 영결식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일본대사관에서 엄수됐다. 매주 일본군 성노예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집회가 열리는 곳이자 김 할머니도 생전 자리를 지켰던 장소다. 영결식을 마친 김 할머니의 유해는 천안 망향의 동산에 안치됐다.

김유진 기자/kace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