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설화’는 서둘러 진화 ‘의혹’엔 화력집중…靑, 설민심 악화 차단법
金보좌관 사직 속전속결 처리
공직기강 강조 ‘노영민 스타일’

野, 문대통령 업무·자녀 공격엔
靑참모 강력한 맞불 ‘이에는 이’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故)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옆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설 연휴를 앞두고 ‘릴레이 경제’ 행보에 나서고 있지만 실질 성과는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현철 경제보좌관의 설화가 터졌고, 야당발(發) ‘대통령 딸 부부 해외이주’ 관련 의혹이 제기됐다. 앞선 청와대 내부 기강해이와 특별감찰반 의혹 등에 이어 악재가 가시지 않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민심을 확인할 수 있는 설 명절 전야에 이같은 구설수가 계속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설상가상, 설전(前)가상인 셈이다. 대통령 지지율의 답보와 여당 민주당 지지도의 내림세,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 지지도 상승 등과 맞물려 청와대로서도 부담이 작지 않게 됐다는 게 중론이다. 문 대통령이 ‘동남아 발언’으로 논란을 촉발한 김현철 경제보좌관을 읍참마속한 것도, 최근 청와대가 ‘대통령 지킴이’로 야당을 향해 공격적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는 것은 이같은 위기감의 발로인 것으로 보인다.

▶하루만에 경질, 왜?=정치권에선 문 대통령이 자신의 스타일과 다르게 김 보좌관을 전광석화처럼 읍참마속한 것을 주목하고 있다. 향후 국정운영 부담이 결코 작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 보좌관 발언으로 분노하는 20대와 5060세대는 그렇잖아도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에 낮은 점수를 주는 층이라는 점에서 고민이 크지 않았겠느냐는 분석이 가능하다.

청와대도 이는 인정하는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30일 “청와대 참모진 사표 수리가 단 하루만에 이뤄진 것은 사실상 문책성 인사로 봐야한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설명절을 코앞에 두고 있는 시점에서 특히 여러 변수를 반영한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했다.

물론 김 보좌관이 먼저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보좌관은 전날 출근하자마자 사표를 제출했고, 대통령은 외부 일정을 소화하며 고심 끝에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운영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판단으로 김 보좌관이 스스로 사표를 냈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선 향후 청와대 안팎의 잡음이 발생하면 문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 역시 달라질 수 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국정 3년차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지율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게 됐다는 것이다. 이에 김 보좌관 사례는 신호탄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5060은 문 대통령으로선 지지율이 가장 취약한 층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25일 발표한 1월 4주 차 연령대별 국정지지율 조사에서 문 대통령 지지율은 50대 36%ㆍ60대 이상 34%로 전연령층에서 가장 낮았다.

여권 관계자는 “김 보좌관의 경질은 ‘기강’을 강조하고 있는 노영민 비서실장의 의중도 반영됐다는 말이 있다”며 “그렇다고 해도 문 대통령의 읍참마속은 상징성이 있어 보인다”고 했다.

▶이에는 이?…공격수 나선 靑=청와대 참모진은 ‘대통령 지키기’ 위해 각을 세웠다. 야당이 문 대통령 가족까지 직접적 ‘공격 타깃’으로 삼을 태세를 보이자, 청와대 역시 야당을 공세적으로 나섰다. 김의겸 대변인은 대통령 딸 해외 이주 의혹을 제기한 곽상도 한국당 의원의 ‘그 과정과 사유를 밝히라’는 공개질의에 발끈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미성년 자녀의 학적 서류까지 공개하는 불법성을 거론하며 곽 의원에 대한 법적 조치까지 시사했다. 김 대변인은 “개탄을 금치 못한다”, “후안무치한 행태”라는 고강도 발언을 쏟아냈다.

김 대변인은 지난 28일에도 한국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문 대통령을 향해 ‘방콕 대통령’이라고 비난하자 ‘가짜뉴스 생산자’라면서 맞불을 놓은 바 있다.

정치권에선 설 연휴 이후에도 청와대와 야권의 공방 전선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터무니 없는 야당 공세엔 ‘이에는 이’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강문규 기자/mkkang@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