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간선박 못 다니던 한강하구 안전항해길 열렸다…30일 北에 해도 전달
-민간선박, 정전협정 이후 65년간 한강하구 항행 못해
-9ㆍ19 남북 군사합의 이후 남북 한강하구 공동 조사


강용석 국립해양조사원장이 3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에서 제작이 완료된 ‘한강 및 임진강 하구 남북공동 이용수역 해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남북이 한강하구의 해도를 공동 제작해 함께 사용한다.

국방부와 해양수산부는 지난해말 실시한 남북 공동수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강하구 남북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해도 제작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판문점에서 남북군사실무접촉을 통해 북측에 해도를 전달할 예정이다.

앞서 남북은 각각 10명으로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지난해 11월 5일부터 12월 9일까지 강화도 말도∼경기 파주시 만우리 구역(길이 약 70㎞, 면적 약 280㎢)에서 수로측량 및 조석관측 등 공동수로조사를 진행했다.

군사분계선이 존재하지 않는 한강하구는 1953년 정전협정 이후 65년간 우발적 충돌 우려 탓에 민간 선박의 항행이 제한됐으나, 지난해 9ㆍ19 군사합의를 통해 민간 선박의 자유 항행에 대한 군사적 보장이 합의되면서 이를 위한 필수정보인 해도 제작이 추진됐다.

이번 남북 공동이용수역 해도는 축척 1:6만으로 제작됐으며, 공동이용수역의 수심, 해안선, 암초 위치 등이 표기됐다.

조사결과 남북 공동이용수역은 전체적으로 크고 작은 간사지(썰물 시 드러나는 지역)와 사주(하천에서 유입된 토사가 해안과 나란히 퇴적된 해안지형), 1m 미만의 얕은 수심이 넓게 분포돼 있었다. 수심 2m 이상의 최적 항로는 강화도 말도부터 교동도 서쪽까지, 강화도 인화리에서 월곶리 앞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상반기 중 기존에 제작한 주변 해역 해도와 연계한 전자해도 및 종이해도를 추가로 제작할 계획이다.

강용석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이번 해도가 남북 공동이용수역에서 안전하고 자유로운 항행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다만 이번에는 개략적 조사결과만 반영된 만큼 앞으로 지속적 정밀 조사를 통해 최신 정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