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대통령, 김복동 할머니 빈소 조문…“문제 해결 못한채 떠나보내 마음 아프다”
-현직 대통령 첫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빈소 찾아 관계자 위로
-길윤옥 할머니엔 “오래 사셔서 젊은 사람 이끌어주세요”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연합뉴스]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떠나보내게 돼 마음이 아프다.”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현직 대통령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빈소를 직접 조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검은색 양복에 검은 넥타이를 착용하고 이날 오후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을 찾아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대표 등을 위로했다. 이날 조문은 주영훈 경호처장, 이용선 시민사회수석, 김의겸 대변인, 조한기 1부속실장 등 청와대 참모진이 동행했다.

문 대통령은 김 할머니 영정 앞에서 큰절을 한 뒤 빈소 옆에 마련된 응접실로 들어가 윤 대표와 길원옥 할머니, 손영미 쉼터 소장,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 등 일부와 대화를 나눴다. 윤 대표는 문 대통령에게 “김복동 할머니가 수술 받은 뒤 진통제를 맞아가며 의지 하나로 버티셨다. 아흔넷 나이에 온몸에 암이 퍼졌는데도 9월 오사카를 다녀오고 수요집회도 다녀오시는 등 정신력으로 버티셨다”고 전했다. 윤 대표는 또 “돌아가시면서도 말씀을 많이 하셨다. ‘끝까지 해달라’, ‘재일 조선인 학교 계속 도와달라’라고 하셨고 ‘나쁜 일본’이라며 일본에 대한 분노를 나타내셨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어머님하고 연세가 비슷하신데 훨씬 정정하셨다. 참 꼿꼿하셨다”며 “조금만 더 사셨으면 3.1절 100주년도 보시고 북미 정상회담이 열려서 평양도 다녀오실 수 있었을 텐데…”라고 안타까워했다.

길 할머니의 고향이 평양이라고 하자 문 대통령은 “이산가족들이 한꺼번에 다 갈 수는 없더라도 고향이 절실한 분들이라도 먼저 다녀올 수 있어야 한다”며 “고향은 안 되더라도 평양 금강산 흥남 등을 가면서 반소원이라도 풀어야 하지 않겠나”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길 할머니에게 “오래오래 사십시오. 젊은 사람들이 부족한 게 많으니 어르신들이 이끌어주셔야죠”라고 전했다.

30분간 조문을 마친 문 대통령은 방문록에 ‘나비처럼 훨훨 날아 가십시오. 문재인’이라는 글을 적었다.

한편 김복동 할머니는 1940년 14세의 나이로 끌려가 중국,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고초를 겪다가 1947년 귀국했다. 1992년 위안부 피해를 공개하며 본격적인 여성 인권 운동의 길을 걸은 고인은 지난 28일 향년 9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