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자동차산업 올해도 정체?…돌파구는
“제조업은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강점이다. 물 들어올 때 노 저으라는 말처럼 기회를 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국무회의에서 자동차 산업 회생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추진단 구성도 가속도다. 대내외 악재를 탈출하기 위한 범정부적인 움직임이 가시화된 셈이다.

지난해 한국 자동차산업은 후진했다. 생산과 수출은 3년 연속 감소했고 내수는 위축됐다. 생산량 400만대를 간신히 넘은 수치는 자동차 생산량 7위인 멕시코의 턱밑 추격을 우려하는 요소가 됐다.

올해 대내외 환경도 녹록지 않다. 세계 경제 상황이 근거다. 정확한 수치 전망의 의미는 크지 않지만, 비관적인 시각은 공통적이다. 불확실성은 자동차산업을 위협하는 ‘실체 없는’ 괴물이 됐다.

우선 미국과 유럽의 금리 인상이 본격화한다. 현재 보류 중인 미ㆍ중 무역 갈등은 진행형이다. 미국의 자동차 금융 위축과 업체들의 플릿 판매 축소도 전망된다. 유럽은 브렉시트의 여파와 새로운 자동차 배출가스 시험법인 WLTP(Worldwide harmonized Light vehicles Test Procedure)에 따른 판매 부진이 불가피하다.

평택항에서 선적을 대기하고 있는 쌍용차.

신흥국으로 시야를 넓혀도 탈출구는 안갯속이다.

지난 2016년 신흥국의 자동차산업 성장은 수출 증가가 밑바탕이었다. 상승 곡선은 오래 가지 않았다. 금유 위기 이후 양적완화 정책을 펼쳤던 선진국들이 통화 정책의 정상화를 선언하면서 신흥국은 위기에 봉착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세 둔화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가 전망한 2019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0.1% 증가한 9249만대다. 선진국의 역성장 여부가 관건이다. 연구소는 미국, 유럽, 일본의 판매량이 전년 대비 각각 1.4%, 0.2%, 2.5%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러시아(8.3%↑), 브라질(7.6%↑), 인도(7.6%↑) 등 신흥국의 판매량 역시 전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다.

내수 역시 소비심리 악화로 안갯속이다.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로 인한 선(先)수요가 소멸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과 소득 양극화 심화가 비관적인 전망에 힘을 싣는다.

금융시장에서도 자동차 섹터의 투자 매력도가 변곡에 위치했다고 보고 있다. 신차 효과와 미국발 자동차 관세 불확실성 해소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저성장 국면의 돌입은 완성차 업계의 기운을 빼는 요인이다.

소비 심리는 구매세 인하 등 외부 요인이 없다면 반등하기 힘들다. 노사 대화를 통한 탄력근로와 직무 전환, 배치전환 등 노동 유연성도 필연적이다. 판매 전략의 다변화와 제품 완성도 제고도 마찬가지다. 여기에 자동차산업의 고질적 구조적 문제로 꼽히는 원ㆍ하청 불공정 거래도 해결해야 한다. 이른바 고비용 구조 고착화의 탈피다.

지난 24일 정부와 양대 노총, 자동차업계 단체가 참여한 ‘자동차산업 노사정 포럼’의 행보가 주목되는 이유다. 대화가 돌파구를 뚫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다만 자동차산업이 위기에 빠졌다는 공감대 형성은 전략 설정에 있어 의미가 크다. 연관 산업인 철강, 기계, 소재부터 정보통신기술, 에너지ㆍ바이오ㆍ환경기술 등 파급 효과가 큰 만큼 자동차 시장의 성장을 위한 대타협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찬수 산업섹션 자동차팀 차장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