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새 광화문광장 설계자 “이순신동상 이전·촛불 바닥 고집 안 해”
보행자 중심의 새 광화문광장 설계안에 대해 이순신장군상과 촛불 형상화 바닥 포장 등에 대해 논란이 일자 광장 설계자인 진양교 대표가 직접 해명에 나섰다. [사진=연합뉴스]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서울시의 새 광화문광장 설계가 이순신 동상 이전과 ‘촛불’형상화 바닥 포장 등의 내용이 담긴 것과 관련 논란을 빚자 설계자는 “고집부릴 생각은 없다”며 직접 진화에 나섰다.

대표 설계자인 진양교 CA조경기술사사무소 대표(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교수)는 25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광화문시민위원회 정기총회에서 “시민위원회가 검토해 안을 확정하면 그대로 (새 광화문광장 설계)안에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진 대표는 “이순신 장군상은 광장 초입에 있기 때문에 살짝 비껴가면 전반적으로 광장을 보는 데 큰 장애가 안 된다”며 “동상 존치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화가처럼 작품세계를 고집하는 사람들이 아니고 공공 공간을 설계하는 사람들”이라며 “덕목은 공간 주인이 원하는 것을 제대로 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 대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이 북한산∼경복궁∼숭례문∼관악산으로 이어지는 축을 살리도록 설계됐다며 이순신장군상 이전은 국가 상징 축의 재해석, 경관 측면에서 용기 있게 제안해 본 것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세종대왕상에 대해서는 “이 축을 어렵사리 되찾은 마당에 (그대로) 두기에는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이전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진 대표는 광화문광장 바닥 포장에 ‘촛불’형상화 방안에 대해서는 “촛불은 좋은 의미임에도 누구의 전유물처럼 인식되는 현 상태가 참 안타까웠는데, 언론에서 혼나며 생각하니 일리는 있는 것 같다”며 한발 물러서면서도 “가급적 더 추상화한 상태로 만들겠다. (광장에) 시민이 모이는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됐으면 좋겠다”라는 바람을 밝혔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