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파괴 대신 보존한 ‘동해안GP’ 문화재 등록 추진
-육군, 문화재청 공문 받아 출입 허용 예정
-문화재청, 존치된 동해안 GP 방문해 가치 평사


남북의 군인들이 GP 상호검증을 위한 전술도로 연결을 위해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국방부]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정부가 남북 간의 비무장지대 감시초소(GP) 철수 합의에 따른 시범철수 대상 11곳 가운데 원형을 보존키로 한 강원도 고성의 ‘동해안 GP’를 문화재로 등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육군에 따르면, 문화재청이 남북 합의에 따라 철거하지 않은 동해안GP를 다음 달 방문하길 희망한다는 취지의 협조 공문을 최근 육군에 보냈다.

육군은 오는 2월 유엔군사령부와 협의해 문화재청 관계자들의 동해안GP 출입을 허용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직원들과 문화재위원회 근대문화재분과 소속 위원들이 다음달 GP를 방문해 동해안 GP가 문화재로 등록될 만한 가치가 있는지 살펴볼 것으로 예상된다.

남북은 지난 9월 19일 체결한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를 통해 각각 11개 GP를 시범 철수하기로 합의했다. 남북은 각각 10개 GP에 대해 지난해 말 완전파괴 및 검증 과정까지 마쳤다. 남북 GP 1개소씩은 병력과 장비를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키로 했다.

우리 측이 보존키로 한 동부전선의 동해안 GP는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직후 최초 설치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부여됐다. 구 369GP로 불렸던 이 GP는 북측 GP와 580여m 떨어져 있고, 산 정상에 설치돼 북한지역 해금강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등 향후 관광자원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3년 6월 직접 방문한 중부전선 까칠봉GP를 존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이 방문했다는 점, 남측 GP와 불과 350m 거리에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