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9 CES]현대차 “2022년 글로벌 커넥티드카 1000만대로 확대…전 차종에 시스템 탑재”
-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 업체로 전환”…혁신 전략 발표
- 전동화ㆍ커넥티드ㆍ오픈이노베이션 중심으로 미래 모빌리티 전략 구체화
- 전동화 기반, 개인 맞춤형 경험 제공하는 ‘스타일 셋 프리’ 제시
- 전 차종 커넥티드 서비스 탑재 목표…이노베이션 센터ㆍAI 전담 조직도 추가 설립


알버트 비어만 현대차그룹 연구개발본부장(사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2019 CES’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제공=현대차]

[헤럴드경제(라스베이거스)=박혜림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 업체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완성차 제조업체라는 ‘틀’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시장의 판도를 주도해 나가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로 우뚝 선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2019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2019 CES)’에서 미래 모빌리티 비전 고도화를 위한 각 부문별 혁신 전략을 발표하며,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 업체로의 전환을 예고했다.

이번에 공개된 현대차의 미래 혁신 전략은 ▷전동화(EV) 기반의 개인 맞춤형 모빌리티 경험 제공 ▷글로벌 커넥티드카 서비스 확대 및 오픈ㆍ플랫폼 구축 ▷오픈 이노베이션&인공지능 혁신 거점 구축 등이 핵심이다.

먼저, 현대차는 고객이 자신만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차량 부품과 하드웨어 기기, 상품 콘텐츠를 업그레이드하는 모빌리티 방향성 ‘스타일 셋 프리(Style Set Free)’ 비전을 발표했다. 단순 이동수단이던 자동차의 개념이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화된 디지털 공간, 움직이는 사무실 등으로 확장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운전이라는 제한된 경험 외에 오락, 휴식 등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2020년에 선보이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 기반의 전기차에 ‘스타일 셋 프리’ 고객 경험 전략을 우선 적용하겠다는 목표다. 이후 자율주행 및 전용전기차 기술 발달에 따라 적용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현대차는 2022년 글로벌 커넥티드카 서비스 가입 고객 1000만명 확보 및 모든 글로벌 차종에 커넥티드 서비스 탑재 등의 목표도 발표했다.

현대크래들 존 서 상무가 걸어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Elevate)’ 콘셉트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은 엘리베이트의 축소형 프로토타입 모델.[제공=현대차]

2년 전 열린 CES에서 ‘연결된 이동성(Connected Mobility)’을 모빌리티 방향성 중 하나로 제시한 현대차는 이날 구체화된 글로벌 리딩 전략을 들고 나왔다. 바로 ‘연결의 초월성(Transcend Connectivity)’이다. 고성능 컴퓨터보다 진화한 수준의 커넥티드카를 구현함으로써 고객이 자동차 안과 밖의 다양한 환경에서 다른 자동차, 집, 주변 공간, 다양한 스마트 기기, 나아가 도시와 하나로 연결되는 경험을 하도록 만들겠다는 비전이 담겨 있다.

글로벌 커넥티드카 1000만대 확보와 전 차종 커넥티드 서비스 탑재는 연결의 초월성 실행을 위한 방안이다.

현대차는 또 이미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시행 중인 한국, 중국, 미국, 유럽 등 외에도 글로벌 전 지역에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빅데이터 센터 거점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 최초로 커넥티드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오픈 플랫폼도 만들어 개방한다.

이를 위해 커넥티드카에 최적화된 전용 운영체제, 클라우드 플랫폼, 네트워크 연결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차량 구성 요소 간 연결성을 확보하고 개방형 협업을 통해 운전자에게 새로운 주행 경험을 전달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알버트 비어만 현대차그룹 연구개발본부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데이터를 앱스토어처럼 외부 회사나 제3기관에 공유해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자생적인 생태계로 발전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더 많은 혜택을 누리는 동시에 더 빨리 더 많은 소비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대차는 미래 핵심 분야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 5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글로벌 거점 확대 계획도 발표했다.

‘현대 크래들 실리콘밸리(HYUNDAI CRADLE Silicon Valley)’와 한국의 ‘제로원(ZER01NE)’에 이은 세 번째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센터 ‘현대 크래들 텔아비브(Hyundai CRADLE Tel Aviv)’를 지난 10월 이스라엘에 오픈했다. 올해는 베를린과 베이징에도 각각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설립해 글로벌 5대 혁신 거점을 완성한다.

현대차는 또 지난 11월 신설된 인공지능 전문 연구조직 ‘에어 랩(AIR Lab,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lab)’을 주축으로 연내 미국에 인공지능 전문 연구개발 센터를 신설한다.

서정식 현대차 ICT본부장은 “미래에 자동차시장은 초연결성을 갖춘 자동차와 그렇지 않을 자동차로 나눠질 것”이라며 “오픈 플랫폼을 바탕으로 ‘연결의 초월성’을 주도함으로써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부응하고 ICT기업보다 더 ICT스러운 기업으로 발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