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인 첫 美암학회 회장 역임 홍완기 박사 별세
[사진=연합뉴스]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폐암과 두경부암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면서 한국인 처음으로 미국암학회 회장을 역임한 홍완기 박사가 지난 2일(현지시간)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자택에서 별세했다. 향년 76세.

고인은 1942년 경기도 청평에서 태어나 1967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대한민국 공군 의무장교로 월남전에 참전했다.

1970년 미국으로 건너간 홍 박사는 뉴욕의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에서 종양학 분야 전임의 과정을 이수했다.

이어 1984년부터 2014년에 걸친 30년 동안 세계 최대 암 치료기관인 미국 텍사스대 MD 앤더슨 암센터에서 두경부·폐암 파트를 이끌면서 석학으로서 입지를 다졌다. 최종 직책은 연구총괄 부총장이었다.

고인은 종양내과 분야에서 ‘중재종양학’(Translational Cancer Research)을 개척해 암 환자 치유에 새로운 팀 접근방식(team approach) 개념을 정착시켜 암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노력으로 다학제 치료 방식의 암 환자 완치율이 높아졌으며, 치유된 환자가 정상적인 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개념이 정착됐다.

그의 학문적 업적과 암 치료의 새로운 학문체계 정립 노력은 미국뿐 아니라 세계 암 연구와 치료학계에서 크게 인정받았다. 해당 분야에서 총 17개에 달하는 최고학술상을 받았으며 6곳의 대학에서 석좌교수로 초빙됐다.

미국학술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stitute of Medicine) 회원으로 추대된 홍 박사는 미국 외 국가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2001∼2002년 세계 최대 암연구단체인 미국암학회(AACR) 회장을 역임했다.

특히 미국암학회는 홍 박사가 학문발전에 공헌한 업적과 세계 최고 연구기관을 이끈 지도력을 기려 역사상 처음으로 생존해 있는 인물의 이름을 딴 학술상인 ‘홍완기 교수 암연구상’(AACR-Waun Ki Hong Award for Outstanding Achievement in Cancer Research)을 2016년에 제정하기도 했다.

이 상은 암 연구와 치료, 예방에 기여한 세계 각국의 만 46세 미만 연구자를 대상으로 매년 시상한다.

고인은 한국의 의학발전에도 기여한 공로로 호암의학상과 KBS 해외동포상을 수상했다.

홍 박사의 장례식은 미국시간으로 오는 1월 12일 캘리포니아 뉴포트비치(Newport Beach)에서 거행될 예정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