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오거돈 부산시장 “김해신공항, 동남권 관문공항 기능 불가”
- 더불어민주당 의원총회서 김해신공항 문제점 제기
- 소음, 안전, 확장성, 환경훼손, 군 공항 한계점 등


[헤럴드경제(부산)=윤정희 기자] 오거돈 부산시장이 21일 부산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총회에서 김해신공항의 문제점에 대해 의원들에게 20여분간 상세하게 설명하고, 김해신공항은 동남권 관문공항의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정부의 잘못된 정책을 바로잡기 위해 적극 행동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 9월 부ㆍ울ㆍ경 3개 시ㆍ도지사가 공동 합의해 검증단을 구성하고, 31명의 공항전문가의 검증결과, 여러가지 문제점이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오 시장이 밝힌 김해신공항의 주요 문제점으로 우선, 동남권 관문공항의 기능을 할 수 없는 저가 항공기 위주 지방 거점공항 수준으로 활주로 길이 등을 계획 중인 점과 신공항 건설로 소음피해 면적 확대, 소음피해 세대수는 3만 가구 이상 증가하고, 특히 군용기 훈련구역 변경으로 부산 북구, 사상구 등 신규 소음 지역도 크게 확대되어 더 많은 주민이 고통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또 오봉산, 임호산 등 산악 장애물 존치로 안전성 확보가 불가능하며, 절취시 2조9000억원의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점과 서낙동강 평강천의 유로변경으로 일대 자연환경 훼손이 심각한 점, 군사공항의 한계로 슬롯 부족 등 민항기 운영이 곤란하고, 최근 공군 공중기동정찰사령부의 김해공항 이전으로 군공항 기능이 더욱 강화된 점, 신공항 건설 시 에코델타시티 고도제한 영향면적이 대폭 확대되어 사업에 차질을 빚게 되는 점을 조목조목 제시했다.

이런 문제점 외에도 소음으로 인한 주민고통, 안전문제 등 부ㆍ울ㆍ경 지역민들을 설득할 수 없는 김해신공항은 건설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대통령 공약인 24시간 안전하고 유사시 인천공항 대체가 가능한 관문공항 건설을 위해 부ㆍ울ㆍ경 800만 국민의 이름을 걸고 적극 나설 것이며, 시의회에서도 활발한 논의와 협력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의회 남언욱 해양교통위원회 위원장은 “계층간의 양극화보다 더 심각한 것이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다”며, “공항ㆍ항만ㆍ철도가 연계된 해양물류도시를 향한 24시간 편리하고 안전한 관문공항 건설에 찬성하며, 시의회도 어떤 방법으로라도 앞으로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