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저소득층, 자영업 시작ㆍ실직 때 부채 증가…고소득층은 부동산 가격 오를 때
[사진=헤럴드DB]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저소득층은 자영업을 시작하거나 안정된 직장을 잃었을 때 부채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만 고소득층은 주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 부채가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20일 ‘경제동향&이슈’에 실은 ‘가계부채의 미시적 결정 요인분석’ 보고서는 소득분위별로 우리나라 가구의 부채(담보ㆍ신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 기초 자료는 전국 2만여 가구를 상대로 2012∼2017년 시행한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했다.

올해 3분기 가계부채는 1년 전보다 6.7% 늘어난 1514조원이다.

분석 결과 가계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부동산 보유와 자영업 종사 여부가 가계부채 증가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 부동산 가액이 1% 상승하면 부채는 0.66%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영업으로 전환한 가구도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부채가 17.8% 늘어났다.

부채증가를 견인하는 주된 요인은 소득 수준에 따라 판이하게 달랐다.

부동산 가격이 1% 올랐을 때 부채 상승률은 소득 4∼5분위(상위 40%) 고소득 가구가 0.73%로 1∼2분위(하위 40%) 저소득 가구(0.36%)의 두 배를 넘었다.

고소득 가구는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때 담보대출 외 신용대출(2.9%)까지 늘린 반면, 저소득 가구의 신용부채는 부동산 가격과 연관성이 없었다. 이는 고소득 가구가 부동산 투자를 위해 집중적으로 대출을 늘리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자영업으로 전환했을 때 비전환 가구와 비교한 부채 증가율은 저소득 가구(18.5%)가 고소득 가구(15.1%)보다 더 높았다.

저소득 가구는 상용직에서 임시ㆍ일용직으로 전환할 때 신용대출이 20% 가까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고소득 가구는 임시ㆍ일용직, 자영업 전환 여부 등 종사상 지위와 신용대출 증가 간 통계상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었다.

이번 보고서는 저소득 가구의 부채증가에 고용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미로, 저소득 가구의 부채 대다수가 생계형 대출일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통계라는 평가다.

보고서는 ”부채유형별, 가구소득별로 가계부채 결정 요인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가계부채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