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계약 변경 일방통보” vs “巨商들 일방횡포”…대리점주들-시몬스 ‘갑질’ 책임은?
시몬스 본사와 대형 대리점주들이 계약조건 변경과 관련 첨예한 ’갑질‘공방을 펼치면서 양측의 갈등 골은 더 깊게 패이는 양상이다. [사진=연합뉴스]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일방적으로 계약 조건을 변경하고 구두로 통보해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관계를 종료하겠다고 압박했다는 대리점주들.

반면 모든 대리점주들에게 차등 없이 혜택을 나누고자 한 정책에 대해 매출 규모 상위 톱10 안에 들어가는 대형 거상들이 반발해 일방적인 주장을 펼치는 것이라는 시몬스 본사. 양측의 첨예한 갑질 논란에 관련 진실공방이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양측의 갈등 골은 더위 깊게 패이고 있다.

대리점주 14명으로 구성된 ‘시몬스 갑질 저지 비상대책위’는 19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본사의 불공정거래’를 신고했다고 밝혔다.

비대위 측에 따르면 “시몬스 본사가 내년 1월 1일 대리점 계약 예정일을 두 달여 남긴 지난 10월 11일 대리점주들에게 계약조건을 불리한 내용으로 바꿔 구두 통보했다”고 주장했다.

시몬스가 신규 계약에서 성과급 형태의 장려금 지급 약정과 사전 할인 혜택을 전면 폐지하고, 신용카드 추가 분할 수수료와 재계약 장려금만 준다는 내용을 담아 그달 17일까지 받아들이지 않으면 더는 계약을 체결하지 않겠다고 압박했다는 것이다.

비대위는 또 시몬스가 올해 두 차례 제품 출고가를 인상시켜 지난해보다 50만∼110만 원가량을 올려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이익은 본사가 독식하는 구조를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대리점주들에게 본사가 지정하는 인테리어 회사를 통해 시공을 맡길 것과 무리한 매장 확대도 강요했다고 호소했다.

이에 시몬스 본사 측은 이들의 주장을 일축하고 “내부 시스템·유통전략 개편에 따라 기존 대리점 지원 정책을 폐지하는 대신 이에 상응하는 새로운 대리점 지원 방안을 모든 대리점에 동일한 기준으로 제공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내년 1월 대리점 계약 종료 예정일에 앞서 시간을 두고 대리점주들과 협의했고, 99곳 이상과 새 계약을 맺었다고 강조했다.

비대위가 지적한 올해 두 차례 인상된 출고가와 관련해선 인건비와 원재료 비용 상승에 따른 조치로, 실제 가격 인상 폭은 매트리스 10%, 프레임은 10∼15%로 각각 제한했다고 설명했다. 시몬스 측은 “공정위 조사가 진행되면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