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원순 “서울에 주택 8만호 공급, 그린벨트 해제는 안해”
-정부 발표 2만5000호 외 5만5000만호 추가 공급
-빈 오피스ㆍ공공부지 활용 고밀 개발 추진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박원순<사진> 서울시장은 19일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서울에 주택 8만호를 공급하고, 도심 내 고밀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서울시가 충분한 주택공급을 제시했기에 그린벨트 해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며 정책 방향을 시사했다.

박 시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토교통부의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ㆍ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 발표에서 “정부와의 1ㆍ2차 공동발표에 포함된 2만5000호 이상 물량 외에 5만5000호 주택을 추가해 모두 8만호를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상업ㆍ준주거지역과 도심 정비사업구역의 주거비율을 늘리고 역세권 용도지역을 상향하는 등 도심 내 고밀 개발을 추진하겠다”며 “도심 내 빈 오피스를 주거로 전환하는 사업도 본격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지난 9월 정부의 1차 주택공급 계획 발표에서 약 1만호의 주택공급 계획을 밝힌 데 이어 이날 추가로 1만5000호 공급을 제안했다.

박 시장은 “특히 서울의료원 주차장 부지나 동부도로사업소 부지 등은 서울시의 기존 부지활용 계획을 바꾸면서까지 이번 공급 계획에 넣은 곳”이라며 “주택시장 안정과 공급 확대를 위해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서울을 재창조한다는 목표로 양적 공급 위주의 기존 주택공급 원칙을 바꿔 새로운 공공주택 모델을 만들겠다”며 “뉴욕, 도쿄처럼 도심 내 주택공급을 넓혀 쇠퇴한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직주근접을 실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앞으로 공공주택을 지을 땐 인프라와 함께 조성해 공공주택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하겠다”며 “도로 상부 등 이전에 생각하지 못한 곳에 주택을 공급하고, 저이용 공공부지나 공공시설을 복합화하는 혁신도 시도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저층 주거지 활성화 방안을 통해서도 공공주택 공급 확대를 꾀할 것”이라며 “소규모 정비 사업을 시행할 때 공공주택을 도입하며 층수를 완화해 사업성을 높이는 방식 등을 시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