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측 단체, 북핵실험 후 첫 대북 밀가루 지원..분유 등 47억원 상당 반출
-북측 소극적 태도에서 여름께부터 태도 바꿔
-9월 평양공동선언 이후 남측 인도지원 본격화


과거 러시아가 북한에 보낸 밀가루 [사진제공=연합뉴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올해 11월까지 남측의 인도지원 민간단체들이 총 47억원 상당의 결핵약, 분유, 밀가루 등 지원 물자를 북측에 반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18일 기자들과 만나 “(이 기간) 인도지원 단체의 북측 접촉신고 54건을 수리했고 6개 단체가 14건을 반출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남측 인도지원 민간단체가 북측에 밀가루를 반출한 것은 지난 2016년 초 북한이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를 연이어 한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4.27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등으로 올해 상반기부터 남북관계가 개선 흐름을 탔지만, 북측은 한동안 남측 민간 단체들과의 협의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다가 올해 여름께부터 다소 태도를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인도지원이 그동안 중단됐다가 사실상 금년도 하반기 들어 본격 시작됐다”며 “특히 (9월) 평양공동선언 이후 본격화됐다”고 전했다.

그는 “그동안에 북측에서도 민간교류와 관련한 체계를 내부적으로 정비해온 것으로 보인다”며 “민간 차원에서 (북측과의) 합의, 활동, 협력이 하반기 들어 좀더 본격화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의 강력한 대북제재로 인도적 지원 물자의 경우에도 품목에 따라 제재 면제 승인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북한에서 다제내성결핵(MDR-TB:중증결핵) 치료사업을 하는 민간단체 유진벨재단은 최근 안보리 산하 1718위원회(대북제재위원회)로부터 결핵 환자용 조립식 병동부품 등 대북 지원물자에 대한 제재면제를 받은 바 있다. 해당 물자의 반출은 아직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민간단체들이 제재면제 신청을 하고자 할 경우 정부 차원에서어떻게 지원할지에 대한 내부절차를 만들어서 단체들에게 안내했다”며 “그런 절차에 따라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국제기구를 통한 800만 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결정한지도 1년이 넘었지만, 이는 아직 집행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21일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교추협)를 열고 유니세프와 WFP(세계식량계획)의 북한 모자보건 및 영양지원 사업에 남북협력기금에서 800만 달러를 공여하는 방안을 심의, 의결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작년에 결정한 800만불 공여 관련해서는 아직도 제반상황을 보아가면서 검토한다는 기본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