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울산시-민간투자사, ‘해상풍력단지’ 협력방안 모색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기 모습[울산시 제공]

4개 민간투자사, 간담회 통해 사업계획 발표
2019년 풍황 계측·사업 타당성 분석 구체화

[헤럴드경제(울산)=이경길 기자] 울산시가 국내 풍력산업의 중심지 도약은 물론, 수출산업으로 추진중인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사업’에 국내외 민간 투자사 4곳이 참여한다.

울산시는 29일 시청 국제회의실에서 송철호 울산시장과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추진위원회’, SK E&S-CIP, GIG, CoensHexicon, WPK 등 4개 민간투자사가 한자리에 모여 사업 계획을 밝히고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간담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서 4개 민간투자사는 울산 앞바다에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 사업계획을 발표한다. 발표 내용에는 해상풍력 단지의 위치, 규모, 사업기간, 개발사와 투자사, 추진일정 뿐 아니라 대략적인 향후 투자계획, 지역기업 활용과 상생협력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민간투자사들이 사업대상 지역으로 꼽는 곳은 울산 앞바다 동해정 지역과 그 주변으로 동해정은 2015년까지 육상폐기물 해양투기 지역이었던 곳이다. 민간투자사들은 2019년에는 울산 앞바다 풍황 계측을 하고, 사업 타당성 분석을 통해 우선적으로 200MW급 실증 단지를 조성한 후 투자사별로 2030년까지 1~2GW급 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국산화 기술개발’과 ‘민간주도 발전단지 조성’을 병행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와 시가 주도하는 부유식 해상풍력 국산화 기술개발 부문은 2016년부터 750㎾ 부유식 해상풍력 파일럿 플랜트 개발, 2018년 6월부터 5㎿급 부유식 대형 시스템 설계기술 개발과 200㎿ 해상풍력 실증단지 설계가 진행 중이고, 민간주도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부문은 이날 사업 구상이 처음으로 발표됐다.

시 관계자는 “단지 조성이 본격화되면 지역기업이 부유식 해상풍력 부품제작과 설치에 참여함으로써 일자리를 만들고 새로운 지역산업 육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1월 영국 그린 인베스트먼트 그룹(GIG) 마크 둘리 회장과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락처 파트너스(CIP) 야콥 풀슨 회장은 울산을 방문해 울산은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하기에 최적지이며,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hmd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