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배출가스 5등급 269만대, ‘미세먼지 비상’ 때 수도권 운행제한
[사진=연합뉴스]

-차량 등급 직접 확인을…내년 2월 15일부터 적발땐 10만원 과태료
-대부분 2008년 이전 등록 노후 경유차…휘발유·LPG 3만대도 포함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노후 경유차 등 배출가스 5등급으로 분류된 269만대가 내년 2월15일부터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때 수도권 운행을 할 수 없게 된다.

환경부는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 데이터베이스(DB) 기술위원회’에서 전국에 등록된 차량 약 2천300만대 가운데 약 269만대를 배출가스 5등급으로 분류했다고 29일밝혔다.

269만대 중 경유차가 약 266만대, 휘발유·액화석유가스(LPG) 차가 약 3만대다.

이 가운데 경유차는 대부분 2008년 이전 등록된 노후 차량이다. 2009년 이후 등록된 일부 차량은 말소됐다가 새로 등록한 노후 차량이다.

1987년 이전 생산된 휘발유·LPG 차는 삼원촉매장치(배기가스 중 유해한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을 감소하는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탓에 대기오염 물질배출량이 많아 5등급으로 분류됐다.

5등급 차량은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는 내년 2월 15일부터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내려지면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운행할 수 없다.

서울 37개, 인천 11개, 경기 59개 지점에서 무인 단속카메라를 활용한 단속이 이뤄진다.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때 5등급 차량이 정당한 사유 없이 수도권에서 운행하다 적발되면 자동차 소유자에게 1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환경부는 5등급 차량의 수도권 운행제한으로 고농도 미세먼지를 하루 약 55.3t가량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부는 본인의 차량이 5등급에 해당하는지 몰라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안내할 계획이다.

12월 1일부터 운영하는 콜센터( 1833-7435)와 홈페이지(emissiongrade.mecar.or.kr)에서 자신의 차량이 5등급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올해 12월부터 5등급 차량에 보내는 ‘자동차 정기검사 안내서’에 ‘귀하의 차량이 5등급에 해당한다’는 안내 문구를 넣는다.

이형섭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5등급 차량에 포함된 저소득층·생계형 노후 경유차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조기 폐차, 저감장치 부착, LPG 차로 전환 등을 지원할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 산정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전기·수소차는 1등급, 휘발유·가스차는 1∼5등급, 경유차는 3∼5등급을 부여받는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