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UNIST 이준호 연구원, ‘머크 생명과학상 2018’ 수상
‘머크 생명과학상 2018’에서 종양생물학 부분 1위를 차지한 UNIST 이준호 연구원.

한국인 최초 수상, 종양생물학 분야 한국 연구력 알려

[헤럴드경제(울산)=이경길 기자] UNIST(울산과학기술원. 총장 정무영)는 25일 생명과학부의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준호 연구원이 한국인 최초로 ‘머크 생명과학상(Merck Life Science Award)’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선도적인 과학기술기업, 머크(Merck)에서 선정하는 ‘촉망받는 젊은 과학자’에 선정된 것은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권에서 머크 생명과학상 1위가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2016년부터 시작된 머크 생명과학상은 생체물질 분리기술, 식음료 안전, 종양생물학 세 분야에서 박사 후 연구원 3년차 이하의 연구자에게 수여된다. 이준호 연구원은 종양생물학 분야에서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이하 간암)’ 연구로 최종 우승을 거머쥐었다.

이준호 연구원은 2010년 UNIST에 입학해 학부 2학년부터 권혁무 교수팀에 합류했다. 당시 학생 인턴이었지만 연구에 적극 참여했고, 스스로 실험을 설계하기도 했다. 이번에 수상한 연구인 ‘간암에서 톤이비피(Tonicity-responsive Enhancer-Binding Protein, TonEBP) 단백질의 발현이 높다’는 내용도 그때부터 4년 동안 진행한 결과다.

톤이비피(TonEBP) 유전자는 신장에서 소변의 양을 정밀 조절하거나, 병균에 감염됐을 때 염증을 일으켜 몸을 보호한다. 그런데 이준호 연구원이 주도한 연구에서는 ‘간암 환자에서 이 유전자(TonEBP)의 발현이 눈에 띄게 높다’는 게 새로 확인됐다. 추가로 간암의 진행 단계에서 톤이비피 유전자가 영향을 주고받는 다른 단백질도 찾아냈다.

이준호 연구원은 “간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을 정복하려면 기초과학 연구가 꼭 필요하다”며 “당장 병을 고치는 의사는 아니지만, 멀리 내다보고 여러 질병과 싸워 이길 가능성을 찾아내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머크는 올해 창립 350주년을 맞은 의료·생명과학 및 성능소재 분야의 선도적인 과학기술 기업이다. 2016년부터 매년 주어지는 머크 생명과학상은 다양한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 및 혁신을 위해 추진됐다. 올해 시상식은 지난 10월 23일 머크 본사인 독일 다름슈타트(Darmstadt)에서 진행됐다.

hmd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