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언주 “민주당, 운동권이 장악…사회주의 혁명에 빠져있어”
[사진=연합뉴스]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연일 보수적 가치를 내세운 목소리로 주목받고 있는 바른미래당 이언주 의원이 민주당을 탈당한 이유에 대해 밝혔다.

이 의원은 최근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변신 이유를 묻자 민주당 내부의 운동권 정서를 가장 먼저 꼽았다.

이 의원은 “내가 인재 영입될 당시만 해도 민주당은 지금처럼 운동권 중심이 아니었다. 우파 정당이 전근대적인 권위주의에 빠져있는 상황에서, 그 때는 민주당이 정치개혁을 할 수 있을 거란 기대가 있었다. 하지만 내가 합류한 뒤 운동권의 민주당 장악은 급격하게 이뤄졌다”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민주통합당에서 정치에 입문한 그는 경기 광명을에서 두 번이나 당선됐다. 초선 때는 원내대변인을 맡아 민주당의 얼굴 역할을 하기도 했다.

특히 이 의원은 민주당과 경제를 보는 시각이 달랐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시장원리를 중요하게 여기는데, 그들은 가치 평가의 잣대로 대하더라. 그런데 경제라는 것은 아무리 윤리적으로 옳고 좋은 의도를 가졌더라도 그렇게 움직이지 않는다. 국가는 시장원리를 이해하고 시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을 펴야지, 시장 자체를 좌지우지하려 해서는 안 된다”라고 일침을 날렸다.

그러면서 “사회주의 혁명에 빠져있던 사람들이 아직도 거기에서 완전히 졸업하지 못한 것 같다. 운동권이 과거 한국 정치에서 큰 역할을 했는지는 모르지만 미래를 위해서는 할 역할이 없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 것이다”라고 호언했다.

아울러 진보 진영에서 폄하하고 있는 이승만 전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를 중립적으로 내려야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박 전 대통령의 독재는 비판하고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하지만 그 열악한 시대에 정말 천재가 아니고서는 어떻게 그런 탁월한 통찰력을 갖고 괄목할 성장을 이뤄냈을까 싶다.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하나였더라도 사회주의로 통일됐다면 지금 인권도 없는 나라에서 살고 있지 않겠나”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지금 바른미래당은 ‘바미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선명함이 없다. 합리적인 것과 선명하지 못한 것은 전혀 다른 얘기다. 우리 시도는 실패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