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북, 오늘부터 육해공 상호 적대행위 전면중지
남북이 상호 적대행위를 중지한 1일 연평도 해안에서 해병대원들이 경계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지상 MDL 5㎞ 안 구역에서 훈련 금지
-해상완충수역 해안포 폐쇄 및 훈련 중지
-공중 MDL 서부 20㎞, 동부 40㎞ 이내 비행금지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남북은 1일부터 지상, 해상, 공중 완충구역에서포사격과 기동훈련, 정찰비행 등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1일 “남북은 오늘부로 ‘9.19 군사합의서’에 설정된 지상, 해상, 공중 완충구역의 합의사항을 실행한다”면서 “지상, 해상, 공중에서의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 행위를 전면 중지한다”고 밝혔다.

군사합의서에 따르면 남북은 이날부로 지상 군사분계선(MDL)으로부터 5㎞ 안의 구역에서는 포병 사격훈련과 연대급 이상 부대의 야외기동훈련을 하지 못한다.

군은 이 구역과 일부 중첩되는 파주의 스토리사격장에서 포 사격훈련을 중지하고, 대신 무건리 사격장에서 훈련을 이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군은 MDL 일대 적대행위 중지와 관련해 MDL 5㎞ 이내의 포병 사격훈련장을 조정 및 전환하고, 연대급 이상 야외기동훈련의 계획과 평가방법 등을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해상은 서해 남측 덕적도 이북에서 북측 남포 인근 초도 이남까지 135㎞를 해상적대행위 중단 수역(완충수역)으로 설정했다.

해상 완충수역에서는 해안포의 포문을 폐쇄하고, 해안포와 K-9 자주포 등 쌍방의 각종 포 사격훈련과 함정 기동훈련도 각각 중지된다. 이 수역을 기동하는 쌍방의 함정은 포구와 포신에 덮개를 씌워야 한다. 우리 군은 덮개를 제작해 설치했고, 백령, 연평도의 모든 해안포 포문을 폐쇄했다.

해병대는 백령도와 연평도에 각각 20여문, 10여문 배치된 K-9 자주포에 대해 훈련 기간 중대급 단위(6문)로 육지로 빼내 무건리 사격장에서 4~5일가량 사격훈련을 하고 복귀하는 ‘장비 순환식 훈련’ 계획을 마련했다.

북한은 이 수역 일대 해안에 130㎜(사거리 27㎞), 76.2㎜(사거리 12㎞) 등 250~300여 문의 해안포를 운용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는 152㎜(사거리 27㎞) 지상곡사포(평곡사포)도 배치했다. 이 가운데 서북도서와 그 해안을 직접 사정권에 둔 해안포는 50~60여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북한은 최근 서해 해안포의 포문 폐쇄조치를 이행하는 등 군사합의서의 적대행위 중지 조치를 이행하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공중에서는 서부지역의 경우 MDL에서 20㎞, 동부지역은 40㎞ 안의 지역에서 정찰기와 전투기의 비행을 금지했다. 서부지역 10㎞, 동부지역 15㎞ 안에서는 무인기 비행도 금지된다. 우리 군은 군단급 부대의 무인정찰기 운용이 일부 제한될 것이라고 밝혔다.

공중 완충구역에서는 전투기의 공대지 유도무기 사격 등 실탄을 동반한 전술훈련도 금지된다. 한미 전투기들의 근접항공지원(CAS) 훈련도 전투기와 정찰기 대상 완충구역 이남에서 실시해야 한다. 군은 한미 연합공군 훈련 공역을 완충구역 이남으로 조정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